칠갑산 천정호에 있는 160m 다리는 가히 엽기적이라 할 만한 주탑모양을 가지고 있는데 이 지역의 명물인 고추와 구지자를 형상화했다고 한다. (images from 상시기꺼) 교량에 지역을 대표할 만한 요소를 가미하고픈 마음에서 이런 주탑을 만들었다고 이해해 주고 싶지만 누구의 머리에서 이런 기발한 발상이 나왔는지… ‘설마 교량 기술자는 아니겠지’라고 생각하며 하고 싶은 말이 많은데 노코멘트
Leave a Comment[태그:] weird
어떤 이가 Erasmus Bridge와 Ling Tie Bridge를 비교하며 Ling-Tie Bridge에 대해 극찬한 글을 보고 약간 어이가 없어 🙂 내 생각을 적는다. 이 교량에 대해서는 몇 년전 이 곳에서 처음 접했는데(첨부 pdf파일 참조) 그 당시 생각이 ‘과연 이 교량이 이대로 제대로 건설될 수 있을까?’ 라고 반신반의 했었다. 현재 이 교량이 완공되었는지 검색을 해보아도 자료를 찾을 수 없고, 이 교량이 구조적으로 어떤…
2 Comments두바이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버즈 알 아랍을 본 뜬 PC뿐만 아니라 교량도 있다. 그것도 먼 외국이 아닌 우리나라에. 제주에 여행갔다가 우연히 보고 놀라서(?) 한 장 찍었다. 언론에서 소개한 자세한 모습은 다음과 같다. 서귀포항 서방파제에서 새섬으로 연결되는 다리라는데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가 관광미항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계획하여 2009년 6월 완공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한다. 제주의 전통고기잡이배인 ‘테우’를 모티브로 형상화한 것이라는데… 믿거나 말거나.
Leave a Comment일본에 있는 현수교라고 한다. 예전에 소개했던 이 다리보다는 그래도 좀 나은 듯. World’s Most Dangerous Roads 중에 나오는 아슬아슬한 교량들
Leave a Comment덴마크 코펜하겐에 건설된 가칭 LM Project에 응모했었던 6개 작품. 건물과 건물을 연결하는 교량을 어떤 형식으로 디자인했는지 참고할 만하다. Steven Holl Architects (USA) – 우승작 BRT Architekten (Tyskland) 3XN (Danmark) C. F. Møller (Danmark) Arkitema (Danmark) Heneghan.peng (Irland) 응모작 중 교량만 보았을 때 가장 독특하고 인상에 남는 것은 아치로 건물상부를 연결한 교량을 구상해 낸 BRT Architekten 작품 *Images from The Jury’s…
Leave a Comment행복한 대전천 만들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목척교 주변 복원기본계획’ 중 목척교 교량안이 공개되었다. ‘생태미래를 주제로 나무줄기세포와 바이오 테크, 첨단과학도시 대전의 정체성을 담았다’는 1안은 교량인지 우주선인지 잘 모르겠고 ‘엑스포다리와 맥을 같이하는 아치현수교’라는 2안은 사장교이며 너무 웅장해 보이며 ‘한국전통석교와 과거 목척교 디자인을 현대적으로 재현’한 3안은 보행자의 전망경관을 확보하기 위해 보도를 차도보다 높이 설치했고 보기에 가장 무난해 뵌다. 따라서 나보고 고르라면 3안.
Leave a Comment반포대교에 분수를 만들겠다는 오시장의 MB식 사고에 일언반구도 안할려고 했는데, 오늘 웹서핑을 하다 10 Most Amazing Bridges에 반포대교가 당당히 첫번째로 소개되었길래 할 수 없이 몇 자 적는다. 분수는 반포대교 난간쪽에 설치되어 있는데 다리 양쪽으로 570m씩 총 길이가 약 1.2km이며, 3m마다 설치된 380개의 노즐에서 38대의 수중펌프를 이용해 퍼올린 한강물을 1분당 190여 톤씩 20m를 뿜어낸다. 동영상이나 야경을 찍은 사진을 보면 ‘멋지고 근사하다’라는 생각이…
Leave a Comment(images from nce.co.uk) 교량구조에 대해 잘 모르는 일반인들에게 위 두 교량을 보여 주면서 ‘왼쪽 것은 싼 일반적인 교량이고 오른쪽 것은 지역의 아이콘이 될 수 있는 멋진 교량인데 좀 비싸’ 라며 하나를 고르라면?영국 Sunderland시에 건설될 교량에 대해 지역 신문사에서 여론조사를 실시하고 있는데 이 시간 현재 오른쪽 교량이 7% : 93%으로 압도적 우위를 보이고 있다. 하나는 일반 거더교 형식이고 황소 뿔같이 생긴…
Leave a Comment요즘 관심을 가지고 재미있게 보고 있는 싸이트 중 하나가 The Happy Pontist라는 곳으로 교량 엔지니어인 어느 영국인이 교량과 설계에 관한 글을 적고 있다. 내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나와 비슷한 시각으로 건축가들이 만든 교량을 보기 때문이다. 🙂 몇 일전 그가 올린 Bridges exhibition in London는 blobitecture(blob+architecture의 합성어)라는 건축 사조에 영향을 받아 기괴한 형상으로 디자인되고 있는 교량들(blob-bridges)에 관한 비평글인데 언급한 교량…
2 Comments이 교량은 국내 유일방식인 사장교와 언더텐션교을 복합한 하이브리드교로 두 마리의 새가 서로 마주보며 물위에 앉아 있는 모습을 모티브로 하여 설계된다. [양산천에 동양최대 구름다리 설치된다] 지자체간에 교량 EST 경쟁이 붙었나?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