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assive Engineering Mistakes – I-40 Bridge

‘예인’이나 ‘견인’을 뜻하는 영어 단어로는 tug와 tow가 있으며, 두 단어 모두 ‘to pull something(무언가를 끌다)’라는 공통된 의미를 지닌다. 항만이나 내륙 수로에서는 대형 선박이나 바지선(부선, barge)을 끌거나 밀어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선박을 tugboat 또는 towboat라고 부르는데, 이러한 명칭은 각각의 단어가 가진 의미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Tugboat라는 용어는 많이 들어 봤지만 towboat는 금시초문이고, 위키에서는 ‘pusher’라는 용어로 대체돼 나오니 궁금증에 관련 정보를 찾아 보지 않을 수 없다. 간단하게 정리하면

구분tugboattowboat
운행구역항만, 연안, 바다강, 운하
예인방식끌거나 밀기(pull/push)밀기(push)
예인대상대형선박바지선

예인선을 처음에는 구분없이 towboat라 불렀다. 그러나, 산업의 변화로 항만에서는 대형선박을 예인하는 강력한 선박이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이를 특정해서 tugboat라 부르기 시작했고 오늘날까지 자연스럽게 운행구역에 따른 명칭이 구분된 것이다.

Towboat도 원래는 ‘끄는 배’였다. 그러나, 내륙 수로(강이나 운하 등)에서는 예인하는 선박을 뒤에 두면 좁고 복잡한 지형때문에 조종이 어렵고 충돌할 위험이 높아 매우 비효율적이었다. 그래서 ‘밀기(push)’ 방식이 훨씬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게 되어 앞에서 끄는 대신 뒤에서 미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서, 이름은 그대로 두고 예인방식만 바뀌게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pusher, pusher boat라고 많이 사용된다.

Season3-Episode7에 towboat로 인한 교량붕괴 사고가 소개되어 먼저 towboat 용어를 정리했다.

사고 원인은 기술적 문제가 아닌 선장의 건강이상이었다. 선장은 사고 발생 약 4분전에 의식을 잃었고 통제가 안된 부선이 주항로를 벗어나 인접 교각과 충돌하면서 통과하던 차량이 강으로 추락해 14명이 목숨을 잃는 사고가 발생했다.

The 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 determined that the probable cause of the Robert Y. Love’s allision with the Interstate 40 highway bridge and its subsequent collapse was the captain’s loss of consciousness, possibly as the result of an unforeseeable abnormal heart rhythm.

아래 사진을 보면 충돌방지용 보호시설(dolphin)은 주항로 교각 2곳에만 설치되어 있었고 나머지 교각에는 없어 사고피해를 막을 수가 없었다.

재시공된 교량에는 새로 추가 설치된 보호시설을 볼 수 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