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courtesy of budowle.pl) 올해로 25년을 맞은 Millennium bridge 보수가 입찰공시 되었는데, 보행자 안전을 위한 미끄럼방지 교면 재시공 등을 포함, 약 3.5mil파운드의 사업비가 책정되었다. 2000년 6월 밀레니엄을 기념하기 위해 개통된 교량은 예상치 못한 흔들림(lateral sway)때문에 안전성 확보를 위한 댐퍼설치 등의 보강을 거쳐 2002년 2월에 재개통되어 현재까지 공용되고 있다. 교량위에서의 시야(전망) 확보를 위해 케이블을 최대한 낮게 배치한 shallow (low profile) suspension교로…
Leave a Comment[태그:] collapse
40명 정도 무게를 견딜 수 있는 교량에 먼저 건너려는 사람들이 갑자기 많이 몰려 들어서 사고가 발생하였다. 다행히도 사망자나 큰 부상자가 없었다지만 이런 사고를 통해 먼저 앞서 갈려고 하는 개인의 욕심들이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 한 번쯤 다시 생각해 볼 만 하다. Hundreds of tourists crossed bridge to see Lushan Mountain in Jiujiang city. But dozens of tourists plummet into lake after…
Leave a CommentTime지에 실렸던 ‘The Worst Bridge Collapses in the Past 100 Years‘라는 사진기사를 정리해 보았다.
Leave a CommentI-35W Bridge의 붕괴 원인을 한창 조사하고 있는 가운데 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NTSB)에서 그 원인 중 하나로 설계오류로 인해 부재와 부재를 연결해 주는 거세트 플레이트(gusset plate) 중 8개 절점(nodes) 16개의 두께가 필요량의 절반 밖에 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 외신을 보면 추측했던 원인들인 강재부식이나 유지관리 소홀 등이 아닌 ‘설계오류’라는 것에 대해 정치적인 배경이 깔려 있지 않나 의아해하는 일부 분석들도 나오고 있다. 이번 결과를…
Leave a CommentPaul Sibly와 Alastair Walker는 1977년 Proceedings of the Institute of Civil Engineers에 기고한 글에서 ‘전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은 유명한 교량붕괴 사고들을 연구조사한 결과 약 30년 주기를 갖는다’는 이른바 ‘교량붕괴 30년 주기설’을 밝혔다. Dee Bridge (1847년) Tay Bridge (1879년) Quebec Bridge (1907년) Tacoma Narrows Bridge (1940년) West Gate Bridge (1970년) 붕괴된 교량들의 공통점은 이전 붕괴한 교량사례들을 거울삼아 좀 더 나은 새로운 형식으로…
Leave a Comment붕괴된 I-35W Bridge를 대신할 새 교량안이 그 모습을 드러냈다. Flatiron-Manson 컨소시엄과 교량 디자인을 맡은 FIGG사는 “Arch, Water, Reflection”이라는 컨셉으로 교각과 상부구조에 곡선을 도입한 PSC Box 거더교 형식 2가지를 Conceptual Design안으로 내놓았다.
Leave a Comment베트남 메콩 델타지역 칸터교 붕괴사고 Vietnam bridge collapse kills 52 people
Leave a Comment미국 듀크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이며 저명한 공학 칼럼리스트인 Henry Petroski 교수가 금번 I-35 Bridge 붕괴사고와 관련하여 LA타임즈에 기고한 글 중에서, In bridge design, as in all structural engineering, success can breed hubris and catastrophe, while failure nurtures humility and caution. [Learning from bridge failure]
Leave a Comment‘비둘기의 배설물이 I-35W Bridge 붕괴의 한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가디언지는 이를 ‘guano theory‘라 표현했는데, 배설물에 포함되어 있는 암모니아와 소금 성분이 빗물과 반응하여 강재의 부식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한다. 배설물을 표현하는 영어 단어인 dung은 일반적인 동물의 배설물을 의미하고, 스페인어인 guano는 조류(흔히 바닷새)의 배설물이 시간이 지나 응고 퇴적된 것을 말한다.
Leave a Comment성수대교 사고를 연상케 하는 끔찍한 교량붕괴 사고가 미국에서 발생했다. 미시시피강을 가로지르는 I-35W Bridge는 공교롭게도 성수대교와 같은 형식의 트러스교이다. 현재까지 다수의 7명의 사망자와 60여명의부상자가 발생했지만 아직 정확한 사고 원인에 대해서는 모르는 것 같다. 정확한 붕괴 원인이 나오는대로 이 글을 보충할 예정이다. Google Earth를 통해 본 사고 이전 교량의 모습 사고 관련 사진(slide) BBC News In pictures: US bridge collapse (Update 1)…
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