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정벌레차 껍데기를 다리에 매달았다. (via 썬로드의 교량이야기) 다리에 차를 매단 첫 시도는 198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Lion’s Gate Bridge 뿐 만 아니라 Golden Gate Bridge에도 매단 전과(?)가 있다고 한다.
Leave a Comment[카테고리:] 교량 일반
‘Earmark’와 ‘pork-barrel’이라는 미국 대선 이슈의 한 가운데 교량이 있다. Gravina Island Bridge, 일명 Bridge to Nowhere(갈 곳 없는 다리). 오래전에 도마 위에 올랐던 이 교량이 다시 거론되는 것은 털어도 먼지가 안나는 페일런의 약점 중에서 그나마 찔러 볼 만하기 때문이다. 50여명의 주민들을 위해 하루 통행량이 1,000대 정도 밖에 안되는 교량 건설에 수천억의 혈세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먼 이웃나라의 현실이며 또한…
Leave a CommentMichel Virlogeux 인터뷰 기사 (via Happy Pontist) Hangzhou Bay Bridge 동영상 예인선에 생긴일 다리밑 아파트 New Bridge Can Be Built In Two Weeks
Leave a Comment1,400억 달러면 우리 돈으로 140조 정도 되고, 2008년 우리나라 예산이 250조 임을 감안하면 엄청 큰 금액임을 알 수 있다. 미국 교량의 문제점들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정보는 Bridging the Gap 참조. It would cost at least $140 billion to repair all the nation’s bridges if work began immediately, a nationwide safety organization said in a comprehensive report Monday. [Report: Repairing…
Leave a Comment부서를 이동한 후부터 업무영역이 완전히 바뀌어 내 관심사인 교량에 관한 소식들을 들춰 볼 시간이 없다. 거창하게 Respectable Engineer라고 소개만 해놓고 시간만 흘러가고 있어 짬나는 시간에 이 양반에 관해 스크랩 차원에서라도 기록을 해야겠다. 위대한 교량엔지니어의 반열에 오른 사람은 아니고 나보다 나이는 쫌 더 먹어 보이는 영국인인데, Ove Arup에 근무하다 지금은 Expedition Engineering을 창업하여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이 사람의 이름을 접한 것은…
Leave a Comment이 양반이 아래 인용처럼 자신의 실수를 솔직하게 표명했다고 내가 존경하는 것이 아니고 언제될지 모르겠지만 시간날때 소개할 거시기 때문이다. 🙂 What’s the biggest mistake you ever made? The most obvious one was when I made the decision to take out the dampers on the Millennium Bridge. [Chris Wise]
Leave a Comment다리 이름 하나 가지고 남양주시, 하남시, 덕소 등 지역간 갈등까지 이르니 지역 이기주의의 끝을 보는 것 같다. 이젠 국토해양부 산하에 ‘작명위원회’를 하나 만들어야겠다. 한심하다. 남양주시가 최근 ‘하남-춘천간고속도로’의 교량명칭을 ‘덕소대교’로 경기도에 제출하기로 입장을 정리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와부지역을 제외한 남양주의 많은 지역에서 일제히 시의 결정에 반발하고 있어 논란이 확대되고 있다. [다리 이름이 뭐길래…’지역 갈등’ 고조]
Leave a Comment‘무안 공항’을 ‘김대중 공항’으로 하려다 뜻을 이루지 못한 전남도가 이번엔 ‘압해대교’를 ‘김대중 대교’로 명명하려고 해 논란이 되고 있다. 전남도가 목포~압해를 잇는 다리를 ‘김대중대교’로 이름붙이자 지역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전남 신안군 압해면 주민들은 6일 농민·청년·여성 등 11개 주민단체로 ‘김대중대교 결사반대위’를 꾸리고 명칭변경에 반대하는 서명운동에 들어갔다. [전남 ‘김대중대교’ 이름놓고 시끌] 우리나라 교량명이 너무 지역명 일색으로 되어 있기는 한데, 막상 ‘김대중대교’라고 이름을 붙이니…
Leave a Comment아래 인용문은 지난 달 28일 ‘토목의 날’ 행사를 맞이하여 서울대 토목공학과 장승필 교수가 일간지에 기고한 글 중 일부다. 사회기반시설의 확충이 자연을 손상시키고 대대로 살아오던 지역의 주거 환경을 파괴한 것은 토목산업 자체의 잘못이라기보다는, 생태자연적·사회문화적 가치를 적극적으로 고려할 수 없었던 절박한 시대상황과 묵묵히 그에 동조(?)한 토목기술자들의 잘못일 것이다. [토목 인프라와 문화 창조] 장교수의 시인(?)대로 기술자의 잘못이며, 기술자라면 그 틀안에서 누구도 자유로울 수가…
Leave a Comment한강다리를 앵글에 담은 사진전 ‘한강프로젝트 II – 25개의 한강다리‘ 소개글에서 계원조형예술대학 사진예술학과 이영준 교수는 한강다리를 이렇게 보고 있다. 강남이 강남이 된 것은 동호대교와 성수대교가 놓이고 나서의 일이니, 도대체 어떻게 해서 연결의 역할을 해야 할 다리가 단절의 역할을 하게 된 건지는 다리를 설계하고 시공한 사람도 모르지 않을까 싶다. [한강다리의 상판은 카메라의 셔터소리에 미세하게 떨린다] 요즘 같은 현실에 ‘한강의 다리들은 두 지역을…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