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카테고리:] 교량 일반

Links for 2009-03-27

교량 폭파해체 장면에 음악을 넣었는데 같은 장면이 많아 약간 지루하다. 독자들이 올린 아카시대교 사진(참고사진 – 일본에서 사온 그림엽서를 스캐닝한 것) 이순신대교 관련 기사

Leave a Comment

Links for 2009-03-19

Google 2009 Student Bridge Modeling Competition (via Web2.0과 인터넷지도) Not-So-Pedestrian Footbridges Smoot에 관한 글 1, 2

Leave a Comment

Links for 2009-03-03

Bridge in Fog (멋진 교량야경 사진)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road kill을 상상도 할 수 없지만, 완공이 되면 생태교량(Eco-Bridge)중에선 세계 최대가 되지 않을까?

Leave a Comment

안전 불감증

건설안전은 백날을 떠들어도 과하지 않다. 현대건설 공사관계자에 의하면 철재거푸집 조립작업을 하고 있으며 긴 측면은 작업발판이 설치되어있으나 조립관계로 좁은 다른 두면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는 설명이며 추락방지망은 설치를 할려고 해도 지지할 곳이 없어서 못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철재거푸집 하부에는 안전망을 충분히 설치할 수 있는데도 설치하지 않고 있으며 심지어 안전밸트도 하지 않고 철재거푸집 상부와 하부를 이동하면서 공중곡예작업을 하고 있다. [화명대교, 위험천만한 공중 곡예를 하는…

Leave a Comment

위험한 다리들

일본에 있는 현수교라고 한다. 예전에 소개했던 이 다리보다는 그래도 좀 나은 듯. World’s Most Dangerous Roads 중에 나오는 아슬아슬한 교량들

Leave a Comment

Links for 2008-12-29

Astounding Japanese Highways, Bridges and Interchanges Bridge Postcard Collectors Dangerous Bridge 16 Incredibly Colorful Bridges

Comments closed

다리 꿈에 대한 해몽

인터넷 검색을 하다 발견한 글. 근거없는 해몽들이라 정신건강에 해로울 수 있어 출처는 안밝힘. 🙂 철도교를 걸어서 건너는 꿈 : 자기 분수에 맞지 않는 일을 시작하여 항상 불안해 하고 초조하다. 비바람이 심하게 불어 다리를 건너지 못한 꿈 : 고위층의 압력으로 자기 뜻대로 일을 진행시키지 못한다. 다리 위에서 사람을 기다린 꿈 : 어떤 기관에 부탁한 일이 풀리지 않아 고민하게 된다. 다리 위에서…

Leave a Comment

ASCE 2009 Bridges Calendar

ASCE 2009년 달력. (2008년, 2007년, 2006년 달력) January : Kap Shui Mun Bridge, Hong Kong, China February : Victoria Falls Bridge, Victoria Falls, Zimbabwe March : Bixby Creek Bridge, California, USA April : Minato Bridge, Osaka, Japan May : Rogue River Bridge, Oregon, USA June : Széchenyi Chain Bridge, Budapest, Hungary July : San Francisco Oakland Bay Bridge, California, USA…

Leave a Comment

생활속의 교량

한 공대생이 교내 교량 경진대회에 참가하면서 일어났던 일들을 재미있게 소개한다. 무엇보다도 내 눈길을 끄는 것은 학생의 부친께서 대회 진행과정에서 변형이 된 모형교량을 손수 손보시는 모습이었다. 우승작을 보고 “이게 우승 한거면 내가 왼손으로만 만들어도 니네 꺼 보단 잘 만들겠다” 란 말씀을 하셨다고 하니 예전에 이 분야에서 일을 하셨던 분이 아니신가 상상해본다. 🙂

2 Comments

압록강 단교

‘Recent scenes from North Korea‘에 실린 북한의 모습을 담은 사진들 중 하나. 압록강에 있는 북한과 중국을 연결하는 교량 중 하나인데 마치 남과북의 분단 현실을 대변하는 모습으로 아직까지 보수가 되지 않은 채 남아있다. 더 많은 사진 자료는 Eric Lafforgue’s Photostream 참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