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너무나 좋은 기술기사라고 생각해서 자료를 올립니다. 토목을 잘 모르는 일반인(특히, 공무원 및 언론인)들이 꼭 읽어 보셨으면 좋겠네요. 태풍 매미에 대한 몇가지 오해 원본은 http://www.ceric.net 에 있습니다.
Leave a Comment[카테고리:] 교량 일반
정읍에 있는 정동교와 샘골다리의 야간조명은 “기술만 있고 미학이 없다” “색색깔로 요란하기만 했지 도무지 컨셉이 없다. 예술가의 손길이 전혀 미치지 않은 조명설계다. 조명이 다리를 돋보이게 해야하는데 전구만 번쩍인다.” 즉 “다리 고유의 이미지를 강조한다던지 정읍시의 이미지를 고려한 디자인 없이 색깔들만 나열되어 물결치고 반짝거려서 혼란스럽다”
Leave a Comment우리나라에서는 매년 홍수나 태풍등으로 몇 개의 교량들이 붕괴될까요?
Leave a Comment포항산업과학연구원에서 PRECOM이라는 새로운 교량공법을 개발했다고 한다.
Leave a Comment파주 검산초 학생들이 세계 청소년 창의력 올림피아드(Destination ImagiNation® Global Finals 2005!)에서 초등부 특별상인 ‘르네상스상’을 수상했다는군요. 어른보다 낫군요. 🙂 Renaissance Award : Rhim Kyung Bae, Korea. Two nations, two cultures, linked by one bridge. A bridge where the whole is greater than the sum of its parts. An architectural piece of art so incredibly intricate, one hated to crush it. The…
Leave a Comment시는 장애인과 어린이, 노약자 등의 불편으로 보도교가 반드시 설치돼야 한다는 입장으로 아트시티(예술도시)에 걸맞는 작품성 있는 훌륭한 다리를 만들기 위해 사장교형식으로 건설하려다보니 조명부분 등이 추가돼 예산이 증액됐다고 해명했다. 시관계자는 “이왕이면 예술적 가치가 있는 다리를 놓자는 아트시티자문단의 의견이 모아져 국비 2억이 포함된 당초예산보다 증액됐다”며 “자연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는 멋있는 교량을 만들 계획이다”고 밝혔다. 시의 다리건설 강행계획에 대해 안양5동 정변규 의원은 “자연하천에 인조구조물이…
4 CommentsAIA Gold Medal Winner :: Santiago Calatrava 교량미학을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스페인 건축가.
Leave a Commentubiquitous [jubíkwts] a. 어디에나 있는, 편재하는 물이나 공기처럼 시공을 초월해 ‘언제 어디에나 존재한다’는 뜻의 라틴어로, 사용자가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출처 : naver) 시설물 관리 유비쿼터스로!
Leave a Comment강교량에 대한 자세한 설명 사례 등 :: 포스코의 강교량 싸이트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