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을 가지고 지켜 볼만한 새로운 교량형식인 SPS : Sandwich Plate System이 드디어 미국땅을 밟았다. 세계 굴지의 석유 화학제품사인 BASF와 카나다의 IE(Intelligent Engineering)과 공동 개발한 이 교량형식은 기존의 콘크리트 상판대신 강- 폴리우레탄-강(steel-polyurethane-steel)의 샌드위치 합성판 형식을 적용하여 교량의 자중 감소와 공기 단축 등 기존 교량형식에 비해 많은 장점이 있다고 한다. 카나다에선 2003년 이미 이 형식을 적용한 교량이 시공되었으며, 미국에서는 Virginia주에서 처음으로 적용하기로…
4 Comments[카테고리:] 교량 일반
한 사무관이 ‘관광패턴 변화에 탄력적 대응을 위한 제주도 관광시설 확충’이라는 제주도 발전을 위한 16가지 제안을 했는데 그 중 무모(?)하지만 재미있는 이런 내용이 있다. 🙂 셋째, 제주도~추자도~완도간 교량 : 제주와 육지부와의 왕래는 주로 항공교통에만 의존하고 있어 고비용 제주관광의 요인이고, 또한 기상조건이 나쁘거나 조종사의 파업이 발생할 경우 대체 교통수단이 없어 도민·관광객 등의 불편 및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초래함에 따라 최단 거리인 완도와 제주를…
Leave a Comment버팔로대의 한 지진 전문가가 테러 공격과 지진에 보다 잘 견딜 수 있는 새로운 “다중위험대응” 교량 설계법을 개발했다. 버팔로대 지진공학연구소 다중분야센터(MCEER:Multidisciplinary Center for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센터장인 미첼 브루노이가 개발한 새로운 교량 교각용 구조설계는 지진이나 테러 공격이 발생했을 때 교량이 붕괴되지 않도록 도와주며, 지진과 폭발 모두로부터 교량을 보호해 줄 것이다. [지진폭발 견디는 교량 설계법 개발]
Leave a Comment2006 해상교량건설 국제심포지엄 – 2006 International Symposium on Sea-Crossing Long-Span Bridges
Leave a Comment“젠장 맞을 거. 다리만 생각하문 부아가 치밀어 오르요. 정치한다는 사람들은 모도 다리 맹글어 준다고 해놓고 아직까지 다리 개통이 안 되얏어. 고 사람들이 약속 지켰으문 벌써 목포까지 다리가 열 두 번도 더 놓였을 것이요.” [입으로 놓은 다리 17개]
Leave a Comment웹 서핑 중 우리나라 전통교량을 소개하는 두 권의 책을 만났다.
Leave a Comment인천시가 큰 돈을 들여 도심 교량들에 대한 미관개선 작업 중 하나로 야간 경관계획을 할려나 본데… 내년에 시범으로 실시할 능해고가교와 남동고가교의 위치 여건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 만약 도심 속 한복판 교량이라면 전구를 달았다고 예뻐질까? 오히려 더 산만하고 정신없어 보일 것 같은데. 예전 청계천 교량들에 알록달록 불을 밝혔다고 상상해 보면 답이 나온다. 도심속 교량은 깔끔, 심플한 것이 낫다.
Leave a Comment교량에 관한 기사는 아니지만 재미있어 옮긴다. 제주도에서 남북 장관급회담이 열리고 있는데 어제 점심을 ‘CJ나인브릿지‘CC에서 한 모양이다. 이 때 양측 장관들의 오고 간 대화를 보면, 힘겹게 골프장에 도착한 권호웅 북측 단장은 영어로 된 골프장 명칭이 내심 못마땅한 듯 “CJ가 영어약자 같은데 뭐냐. 왜 영어로 이름을 지었냐”고 대뜸 물었다. 이에 정동영 남측 수석대표는 “외국인들을 상대하려는 것”이라며 옆에 있던 김영환 골프장 상무에게 명칭에…
Leave a Comment“finding architecture with google earth”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흥미로운 싸이트를 소개한다. Google Earth를 설치하면 세계 어느 곳이든지 찾아갈 수 있는데(인공위성 이미지) 이 싸이트는 그 중에서 교량을 비롯한 건축물들의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Google Earth를 설치 후 언급한 싸이트에 가서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kmz 형식)을 다운 받아 Google Earth 메뉴에서 ‘File>Open’을 하면 된다. 파일 오픈시 에러가 나는 경우는 kmz 파일의 압축을…
Leave a Comment구조 미학에 대한 권위자인 David Billington 교수는 그의 저서 The Tower and The Bridge에서 아름다운 구조물이 갖추어야 할 특성을 3개의 dimensions, 3S – Scientific, Social and Symbolic 으로 정의하며, 이 3가지 dimensions을 가름하는 척도로서 각각 3E – Efficiency, Economy and Elegance를 언급한다. Scientific Dimension – efficiency ;Social Dimension – economy ;Symbolic Dimension – structure’s elegance & expressive power “There are…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