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3월 주간동아 특집기사 ‘한강에는 다리가 없다’ 물위에 떠있는 예술품 꿈꾸는 한강’을 보고 싶다 ‘문화의 옷’ 입히기 아름다운 실험
Leave a Comment[카테고리:] 교량 일반
이제 우리는 거품을 걷어내고 군더더기를 떼어내고 순수의 시대로 돌아가야 한다. 전곶대교라 부르지 않아도 살곶이 다리는 아름답지 않은가. [유유히 흐르는 강물은 우리에게 무슨 교훈을 주는가]
Leave a CommentTransporter bridge라 하며 Ferry bridge 혹은 Aerial transfer bridge라고도 한다. 두 개의 타워로 부터 곤도라를 메달아 사람이나 차량을 운반하는 형식이다. 영국 Wales Newport시 Usk강에 놓여 있는 Newport Transporter Bridge. 프랑스 Ferdinand Arnodin의 설계로 1906년에 완공되었고 1985년 와이어의 문제로 폐쇄했다가 1995년…
Leave a Comment저자는 ‘연필‘, ‘서가에 꽂힌 책’ 등을 쓴 헨리 페트로스키이다.‘연필’을 통해 그를 알고 있었는데 그가 토목공학도 전공했다는 것을 이번에 알게 되었다. 그런 그의 이력을 바탕으로 그동안 American Scientist에 교량등 토목공학과 관련되어 기고했던 글들을 묶은 책으로 토목을 전공하는 학생이나 엔지니어들에게 좋은 자료를…
Leave a Comment양쪽 교각에 탑을 만들어 그 상부에 도르래를 달고, 교체의 무게는 추(錘)에 의해 평형을 이루게 하면서 탑을 따라 와이어로프로 감아 올리는 형식. 쉽게 말해서 교량을 수직으로 들어 올리는 형식이다. 영어로는 Lift Bridge라 한다. 이와는 반대 개념의 형식으로는 배가 지나갈 수 있게…
Leave a CommentSwing Bridge (선개교 旋開橋)라 한다.
‘선(旋)’의 뜻이 ‘돌다, 회전하다’이므로 교량이 회전하여 뱃길을 내주는 형식이다. 개인적으로는 Caratrava 작품의 Puente de la Mujer가 선개교 중에서는 가장 아름답다고 생각한다.
영어로는 Bascule Bridge (도개교 跳開橋) 라 한다. 온라인 백과사전에 나와 있는 정의를 보면, 교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위로 약 70 ° 가량 들어 올려져서 선박을 통과시키는 형식이다. 경간(徑間)의 중앙에서 벌어져 좌우 2개로 개폐하는 것을 이엽도개교(二葉跳開橋)라 하고, 경간의 한쪽에 회전축이 있어서…
Leave a CommentSantiago Calatrava MIT 강연 내용. 엔지니어들이나 건축가들은 읽어 볼만한 내용이다. 강연 중에 교량에 대해 언급한 부분이 많은데 Piazzale Roma Footbridge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2 CommentsWorld Wide Panorama 중 Bridges Themes Taken metaphorically, bridges can be anything that helps us to progress from one place to another, spanning barriers and obstacles. There are social and cultural bridges, economic and business bridge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bridges.
Leave a Comment지금은 세계 2위의 사장교로 밀렸지만 사장교 역사의 한페이지를 장식하는 Normandy Bridge와 얼마전 세계인의 주목을 받았던 Millau Viaduct를 설계한 사람. 교량 외관에만 신경을 쓰지 우리나라에 와서 강의까지 했던 Michel Virlogeux라는 사람을 알고 있는 사람은 과연 얼마나 될까?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