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교량연보소위원회(橋梁年報小委員会)에서 해마다 발간하는 교량화보집
Leave a Comment[카테고리:] 교량 일반
골든 게이트는 독특한 색상으로도 유명한데 오렌지빛이 도는 그 색상을 정식명칭으로 “Golden Gate Bridge International Orange“라 칭한다. 이 색깔이 하도 예뻐보여 집대문이나 담장에 칠하고 싶은 사람들도 있을텐데 🙂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대로 다음과 같이 믹스를 해도 되고 C= Cyan: 0%, M =Magenta:69%, Y =Yellow:100%, K = Black:6% International Orange 페인트 제조사인 Sherwin-Williams에서 ‘Fireweed’ 색상(color code SW 6328)을 주문하면 된다. 실제로 SW 6328은…
Leave a Comment‘교량’과 ‘비’를 테마로 도시풍경을 화폭에 담은 보기 힘든 전시회가 부산 아트인오리에서 열리고 있다. 기간은 3월 25일(토) – 4월 16일(일)까지. 배지민의 이번 작업은 거대도시구조의 ‘다리’와 ‘비’로 큰 축을 이루는데 권력적 거대 구조물과 그것을 중화시키는 감성적 코드의 만남인 것이다.
Leave a Comment관심을 가지고 지켜 볼만한 새로운 교량형식인 SPS : Sandwich Plate System이 드디어 미국땅을 밟았다. 세계 굴지의 석유 화학제품사인 BASF와 카나다의 IE(Intelligent Engineering)과 공동 개발한 이 교량형식은 기존의 콘크리트 상판대신 강- 폴리우레탄-강(steel-polyurethane-steel)의 샌드위치 합성판 형식을 적용하여 교량의 자중 감소와 공기 단축 등 기존 교량형식에 비해 많은 장점이 있다고 한다. 카나다에선 2003년 이미 이 형식을 적용한 교량이 시공되었으며, 미국에서는 Virginia주에서 처음으로 적용하기로…
4 Comments한 사무관이 ‘관광패턴 변화에 탄력적 대응을 위한 제주도 관광시설 확충’이라는 제주도 발전을 위한 16가지 제안을 했는데 그 중 무모(?)하지만 재미있는 이런 내용이 있다. 🙂 셋째, 제주도~추자도~완도간 교량 : 제주와 육지부와의 왕래는 주로 항공교통에만 의존하고 있어 고비용 제주관광의 요인이고, 또한 기상조건이 나쁘거나 조종사의 파업이 발생할 경우 대체 교통수단이 없어 도민·관광객 등의 불편 및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초래함에 따라 최단 거리인 완도와 제주를…
Leave a Comment버팔로대의 한 지진 전문가가 테러 공격과 지진에 보다 잘 견딜 수 있는 새로운 “다중위험대응” 교량 설계법을 개발했다. 버팔로대 지진공학연구소 다중분야센터(MCEER:Multidisciplinary Center for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센터장인 미첼 브루노이가 개발한 새로운 교량 교각용 구조설계는 지진이나 테러 공격이 발생했을 때 교량이 붕괴되지 않도록 도와주며, 지진과 폭발 모두로부터 교량을 보호해 줄 것이다. [지진폭발 견디는 교량 설계법 개발]
Leave a Comment2006 해상교량건설 국제심포지엄 – 2006 International Symposium on Sea-Crossing Long-Span Bridges ::프로그램:: Jeollanamdo’s Master Plan for Sea – Crossing Bridges – Regional Development and Geographic Potentials / Ki-Tak Choi, JeollaNamdo, Korea Messina Bridge Project – General Features including Economic and Environmental Aspects / Giuseppe Fiammenghi, Stretto di Messina, Italy Messina Bridge Project – Technical Challenges / Giorgio Diana, Politecnico di…
Leave a Comment“젠장 맞을 거. 다리만 생각하문 부아가 치밀어 오르요. 정치한다는 사람들은 모도 다리 맹글어 준다고 해놓고 아직까지 다리 개통이 안 되얏어. 고 사람들이 약속 지켰으문 벌써 목포까지 다리가 열 두 번도 더 놓였을 것이요.” [입으로 놓은 다리 17개]
Leave a Comment웹 서핑 중 우리나라 전통교량을 소개하는 두 권의 책을 만났다.
Leave a Comment인천시가 큰 돈을 들여 도심 교량들에 대한 미관개선 작업 중 하나로 야간 경관계획을 할려나 본데… 내년에 시범으로 실시할 능해고가교와 남동고가교의 위치 여건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 만약 도심 속 한복판 교량이라면 전구를 달았다고 예뻐질까? 오히려 더 산만하고 정신없어 보일 것 같은데. 예전 청계천 교량들에 알록달록 불을 밝혔다고 상상해 보면 답이 나온다. 도심속 교량은 깔끔, 심플한 것이 낫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