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카테고리:] 교량 일반

복잡한 인터체인지

러시아의 한 교차로인데 Rosanov Street이란 곳에서 인접한 Khoroshev Street으로 가기 위해서는 빨간 화살표처럼 빙글빙글 돌아야 한다. 이와 같이 복잡한 교차로를 Malfunction Junction 혹은 Spaghetti Junction이라고 하는데 링크한 곳에서 더 많은 사진 자료를 볼 수 있다. 가장 재미있는 곳은 이스라엘에 있는 곳인데 얼마나 복잡하면 친절하게도 각 방향별로 가는 방법을 설명해 준다. 🙂 그 중 백미는 9번째 경로.

Leave a Comment

Seven Bridges of Königsberg

학창시절 수학 시간에 ‘한붓 그리기’라는 것을 배운 기억이 난다. 한붓 그리기란 ‘주어진 도형을 그릴 때, 선을 한 번도 떼지 아니하면서 같은 선 위를 두 번 반복해서 지나지 않도록 그리는 것’을 말하는데 이 한붓 그리기의 시작이 다리에서 시작되었다. 지금은 러시아에 있지만 예전 프로이센에 있던 Königsberg(현재는 Kaliningrad)라는 도시에 일곱개의 다리가 있었는데 이 다리들을 어느 것도 두 번 건너지 않고 계속해서 전부를 다…

Leave a Comment

사라져가는 도심육교들

가파른 경제성장의 상승곡선을 긋기 위해서는 좁은 길을 버리고 넓은 도로를 취해야 했으며, 느려터진 달구지를 추방하는 대신 재빠른 자동차를 서둘러 영입해야 했다. 그렇다면 길을 잃어버린 사람들은 어디로 가야 할까? 자연의 강물을 건너기 위해 다리를 놓듯이 도시의 강물을 넘기 위해서도 교량이 필요했다. 사람들은 이를 ‘ 육교’라고 불렀다. 쉽게 말하면 ‘땅 다리’인 것이다. [사라져가는 도심육교들 ] ‘육교’가 이제 구시대 산물 취급을 받는구나. 교통약자를…

Leave a Comment

왜 하필 ‘다리’야?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는 22일 “다리하나를 더 놓거나 도로를 건설하는 것보다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는게 경쟁력확보에 도움이 된다”면서 ‘교육5대 정책’을 제시했다. 본격적인 대권행보에 나선 후 구체적인 정책발표를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다리하나 놓는것’보다 ‘인재양성’이 “중요”] 비유할 것이 많은데 왜 하필 건설산업을 들먹일까?

Leave a Comment

인간을 생각하는 엔지니어링

부실공사로 인한 대형 참사와 안전불감증의 시대를 살아가는 한국사회의 우리들에게 이 책은 많은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저자는 진정한 엔지니어란 어떤 사람들인지 그리고 어떤 자질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지 이야기하고 있다. 또한 현대 기술문명의 근간인 엔지니어링의 지적인 전통과 현실적인 감각의 중요성에 대해 “go and see”라는 말로 함축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기술계통 엔지니어들뿐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보다 현실적이고 구체적이 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 책에서 발견할…

Leave a Comment

한강 잠수교 ‘보행전용 다리’로

시는 또 한강교량 중 여유있는 차로가 있는 5개 교량에는 녹도 형태의 보행공간을 조성하고, 버스정류소, 엘리베이터, 경사로 등을 이용해 한강시민공원의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특히 반포대교와 복층 형태로 운영 중인 잠수교를 내년 하반기부터 보행전용으로 만들어 강남북 시민이 함께 만나는 화합의 장으로 조성한다는 복안이다. [한강 잠수교 ‘보행전용 다리’로 바뀐다] 성급한 생각이지만 이 다리를 이용해 한강을 오고 가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우리나라의 교통현실을 감안할때…

Leave a Comment

Mackinac Bridge

부시맨 : 핸드폰 1000개로 이 다리를 날려 버릴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 Image from detnews.com

2 Comments

‘200년’ 버티는 다리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현재 수명이 30∼50년 수준에 머물고 있는 교량을 200년 이상으로 늘리기로 하고 이에 걸맞은 설계 기술과 구조물을 2015년까지 개발키로 했다. 건기연은 이를 위해 현재보다 10배 이상 우수한 성능을 갖는 300MPa(파스칼)급 초고강도 콘크리트 등 첨단 건자재를 중점 개발키로 했다. [200년 버티는 다리 만든다… 과기부 ‘톱 브랜드’ 71개 선정] 내구년한을 늘리기 위해서는 신소재 개발이 제일 우선시 되어야겠지만 유지관리도 중요하다. 잊지말자, 성수대교의 교훈을…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