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8월 어느날… 태풍이 지난간 광안대교를 갔었다.
Leave a Comment[카테고리:] 한국의 교량
아라뱃길 하나교 아찔한 급경사 “천국으로 가는 다리 오명 얻을 것” 아라뱃길 교량 중 하나인데 정확하게 어떤 교량인지 모르겠다. 아라뱃길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하나교는 아치교로 되어 있어 교량명이 맞다면 실시설계과정에서 설계변경이 된 것 같다. Roller coaster를 연상시킬 정도로 종단경사가 급한데 설계속도…
1 CommentIABSE Photo Contest of Structures 2011에서 우리나라 이순신대교(Yi Sun Sin Bridge)를 촬영한 사진이 3등을 차지했다. 이순신대교를 포함하여 심사위원이 각별히(?) 신경써서 선정한 12개 구조물이 IABSE Calendar 2012에 실리는데 자랑스럽게도 이순신대교는 1월 첫페이지를 장식했다.
Leave a Comment지난 5월에 점검차 방문했던 목포대교를 재방문하였다. Key Segment 연결이 끝나 차량 이용이 가능해 힘들이지 않고 점검을 할 수 있었다. 얼마전 EBS 방송에도 멋지게 소개되었고 마지막 포장만 잘 마무리하면 작품 하나 나올 것 같다.
Leave a Comment동호의 변윤주 부사장께서 토목학회지에 ‘토목분야의 미관디자인은 누가 주도해야 하는가?(Who Should Lead the Aesthetic Design in Civil Engineering Field?)‘라는 글을 쓰신 적이 있는데 구구절절 다 옳은 말이고 그 중 공감하는 몇 부분을 옮긴다. 이미 알고 있는 바와 같이 특히 교량구조는 상징성을…
Leave a Comment이용객없는 42억짜리 수원시 호화판 경관육교 프랑스어 grands travaux inutiles는 ‘쓸모없는 대공사‘란 의미로 만들어 놓고 제대로 사용되지 않는 시설물을 말하는데 지어 놓고 파리만 날리고 있는 OO국제공항 등을 그 예로 떠올릴 수 있다. 기사에서 언급한 교량이 이런 시설물이란 의미는 아니고 기사 내용과…
Leave a CommentAqua Art Bridge를 디자인한 D.P.J. & Partners의 새로운 교량 네이처 테크 브리지(Nature Tech Bridge) (photo courtesy of D.P.J. & Partners) 교량을 설계한 D.P.J. & Partners의 잘리콩(David-Pierre Jalicon)씨는 동양의 풍수설을 건축설계에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Nature Tech Bridge는 설득력이 좀 약한 것…
Leave a Comment지난 5월17일 방문한 목포대교 사진 연장 900m이며 3경간 (200m+500m+200m)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년 초 준공을 목표로 마무리 작업 중
Leave a Comment경북 울진에 응봉산이 있는데 이 산에 있는 교량들은 특색있게도 세계 각국의 유명한 교량을 축소 카피한 형식들이다. 전세계 수많고 많은 교량들 중에 어떤 기준으로 선정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컨셉을 잡고 해당 자료를 찾아(서울가서 김서방 찾기) 구체화 시킨 것에 대해 그 노고를 높이 사지 않을 수 없다. 교량 모양이 조잡하긴 하지만 이런 멋진 계획을 구상한 것에 대해 토목인으로서 감사를 표하고 싶다.
2 Comments천안시 불당대로 사거리에 60억을 들여 만든 육교다. 원래는 승강기를 설치할 계획이 없었으나(원래 교량 조감도 참조) 교통약자의 편의를 위해 충청남도장애인단체연합회의 의견을 받아들여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성공리에 완공이 되었다. 우여곡절을 겪은 만큼 이 육교에 대해 지역관계자들의 칭찬이 쏟아져 나와야 되나 현실은 그렇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