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간에 교량명에 자기네 ‘동네이름‘ 넣을려고 어린애들처럼 싸운다. 어제 오늘 일이 아니고 우리나라만 그런 것도 아니다. 교량이나 지하철 등 공공시설물에 지역이름이 들어가면 그 브랜드 효과를 정량적으로 따져 볼 수 있는 건지 정말 궁금하다. 뭐 별 게 있을까?
Leave a Comment[글쓴이:] bridgeworld
1월 17일 세계에서 가장 높은 Huajiang Canyon Bridge(화장협곡대교)의 key segment 설치가 완료되었다. 교량 관련은 MegaBuilds에 자세한 소개가 나와 있다. 교량이 위치한 Guizhou province(구이저우 성)은 해발 평균 1,100m에 위치하고 있고 산악지형들이 많아 ‘고교량박물관’이라 불릴 정도로 고교량이 많다. 몇 개만 소개하면, Yachi…
Leave a Comment글의 이해를 돕기 위해 먼저 계절 구분에 관해 알아보면, 사계절의 구분은 일반적으로 기상계절(meteorological seasons)과 천문계절(astronomical seasons)로 나눈다. 기상계절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월(month)을 기준으로 하고 천문계절은 다고 생소한 equinox와 solstice를 기준으로 한다. Equinox는 낮밤의 길이가 같은 춘추분, solstice는 낮밤의 길이가…
Leave a Comment한강엔 몇 개의 교량이 있을까? 23년 기준으로 31개라고 하는데 그 사이에 완공된 교량들이 또 있을테니 현재는 32개 or 33개 일 것 같다. 그럼 세계에서 두번째로 긴 아마존강에는? 놀랍게도 아마존강 본류에 있는 교량 갯수는 “0”이다.
Leave a Comment당선작은 실현 불가능한 허위작이므로 당선을 취소해야 한다는 토목구조기술사회(KPSEA)의 강경한 이슈 제기가 있었고 시간이 많이 지났다. 공모 지침서에 따라 실격(disqualified) 사유에 해당 된다면, 당시 서울시의 즉각적인 반응이 나왔을텐데 아직 아무 소식이 없는 것을 보니 국제 공모 당선작을 취소시킬 만 한 합당한…
Leave a Comment교량은 차나 사람이 통행하는 교면(deck)의 위치에 따라 일반적으로 상로교, 하로교 그리고 중로교로 구분하며, 아치교에 적용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상로아치교(deck arch bridge) 하로아치교(through arch bridge) 중로아치교(half-through arch bridge) (images courtesy of Innovative bridge design handbook) 아치리브(rib)는 주로 강재(steel)가 많이 사용되는데, deck…
Leave a Comment사장교나 현수교의 케이블에 눈이 쌓이는 경우가 있다. 뭐 큰 문제가 되겠냐 싶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고 실제로 쌓인 눈이 떨어져서 지나가는 차에 피해를 준 경우가 있었다. 대표적으로 카나다 Port Mann Bridge 가 2012년에 이런 사고로 인해 송사에 휘말렸었고, 지금도 눈이 많이…
Leave a Comment블로그를 다시 재개하면서 새해맞이 ASCE 달력이나 올려볼까 했더니만 24년부터 더 이상 발간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 이유가 좀 거시기한데 The main reasons behind this decision were sustainability issues, the high amount of staff resources needed to produce the calendar, and its…
Leave a Comment마지막 글이 2017년이었으니 몇 년 만인지 WordPress 를 1억5천년만에 업데이트할려니 이것저것 손 볼 곳이 많다. 가장 큰 일이었던 것이 php환경에 맞는 서버 이전이었는데 byus.net 운영자님의 친절한 도움 덕에 무사히 새 집으로 이사를 마쳤다. 정확히는 2013년 이후로는 사이트를 운영하지 않았기 때문에…
Leave a Comment40명 정도 무게를 견딜 수 있는 교량에 먼저 건너려는 사람들이 갑자기 많이 몰려 들어서 사고가 발생하였다. 다행히도 사망자나 큰 부상자가 없었다지만 이런 사고를 통해 먼저 앞서 갈려고 하는 개인의 욕심들이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 한 번쯤 다시 생각해 볼 만…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