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작성자:] bridgeworld

Partial Collapse of Fourth Danube Bridge

Fourth Danube Bridge는 이전 글 서두에 소개한 교량인데, 타 교량과 달리 붕괴되지 않고 부분 파손되어 정상적으로 복구 완공된 교량이다. Understanding Bridge Collapses라는 책에 이 교량의 좌굴 파괴에 대한 분석글이 있는데 엔지니어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아 간력히 내용을 옮긴다. 1969년 11월 6일 저녁, 오스트리아 비엔나 Fourth Danube Bridge 건설의 마지막 단계에서 예상치 못한 현상이 발생했다. 건설 현장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폭발음같은…

Leave a Comment

Massive Engineering Mistakes – Cleddau Bridge

1960년대에 빠르게 발전하여 많이 적용된 Steel Box Girder교가 1970년을 전후해서 연이어 붕괴되는 참사가 발생한다. 1969년 오스트리아 Fourth Danube Bridge 공사 중 좌굴로 인해 심각한 변형이 발생했고, 6개월 후 Britannia Bridge가 아이들의 불장난으로 붕괴되었으며, 얼마 후 건설 중이던 Cleddau Bridge 붕괴 사고가 발생했다. 같은 해 10월에는 35명이 사망한 호주 멜버른 West Gate Bridge 붕괴사고, 1971년에도 독일 Koblenz 지역에 건설 중이던 교량이…

Leave a Comment

Massive Engineering Mistakes – Skagit River Bridge

Season2-Episode7에는 I-5 Skagit River Bridge 붕괴가 소개된다. 차량이 교량과 충돌하여 붕괴된 사고인데, 딱 찝을 만한 설계 오류가 없어 방송에서는 교량의 주부재가 아닌 부부재(secondary member)와의 충돌인데 왜 한 경간 전체가 붕괴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춰 redundancy와 FC(Fracture Critical)에 대해 얘기를 한다. 전반적인 사고 상황은 NTSB(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 보고서 열람이 가능하므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당시 상황을 요약하면, 파일럿 차량(선도 차량으로 화물트럭이…

Leave a Comment

Massive Engineering Mistakes – Hood Canal Bridge

Season2-Episode6에 대표적인 부교(pontoon bridge)인 Hood Canal Bridge의 붕괴사고가 소개된다. 방송에서 나오는 사고 전말을 요약하면, 방송에서는 자세한 언급이 없었지만 관련 자료를 찾아 보면 지정학적 요인에 대한 설명들도 나온다. Hood Canal 지역은 지형적으로 산의 하위측(leeward side)에 위치해 있어, 강한 남서풍이 불 경우 국지적인 기압골(lee trough)이 형성되기 쉬웠다. 특히 바람의 방향이 Hood Canal의 좁고 긴 해협 형태와 일치할 경우, 이 지역은 풍동(wind tunnel)과…

Leave a Comment

The Art of Structural Engineering: Bridges

edX는 하버드와 MIT가 공동 설립한 비영리 온라인 교육 플랫폼으로 고품질의 대학 강의를 무료로 수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강의 중에 Princeton대학 Maria Garlock 교수의 The Art of Structural Engineering: Bridges가 있는데 교량을 주제로 구조공학이 얼마나 창의적인 학문이고 예술 형태인지 공학자가 아닌 일반인들도 이해할 수 있게 설명 해준다. 강의 개요에 나와 있는 내용을 갈무리한다. On the first page of David Billington’s…

Leave a Comment

Aesthetics in Bridge Design

Bridge Aesthetics Around the World에서 Christian Menn이 쓴 Aesthetics in Bridge Design 글을 갈무리한다. Bridge design is essentially an engineering problem. Safety, construction process, and economy, among other things, play decisive roles. Unfortunately, the aesthetic aspect is often neglected, and few significant contributions have been made toward the advancement of bridge aesthetics, in contrast to the great number of contributions…

Leave a Comment

The Engineer’s Aesthetics

원제는 The Engineer’s Aesthetics ‒ Interrelations between Structura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Art, 2009년 5월 Third International Congress on Construction History 컨퍼런스에서 독일 미술사학자와 구조공학 교수가 공저로 발표된 글이다. 참고할 만한 내용들이 있어 갈무리 해둔다. 번역은 구글 인용 각색 Already Heinrich Pudor remarked that besides making visible the constructive and static laws, engineering structures should also obey to “the highest artistic…

Leave a Comment

Massive Engineering Mistakes – Cypress Street Viaduct

1989년 10월 17일 지진으로 붕괴된 Cypress Street Viaduct 가 Season2-Episode5에 소개된다. (참고로, Episode5에는 Tacoma Narrow Bridge도 소개되는데 너무 유명한 교량 붕괴사고라 생략한다.) 당시 연일 방송언론에 교량이 붕괴된 처참한 장면들이 나와서 기억이 나는데 30여년이 훌쩍 지난 일이었다니 세월의 흐름을 실감치 않을 수 없다. 사고 초기에 발표된 2건의 보고서가 공개되어 있어 사고 당시 상황 및 원인을 개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보고서들은 UC…

Leave a Comment

Bridge Load Test

Nusle Bridge Heavy load tests were conducted, both static and dynamic. The statistic test saw more than 60 Russian tanks, weighing 35 tonnes each, driven onto the bridge and parked in rows along the sides. Then trucks brought in 3,000 tonnes of sand and gravel. And that’s not all. After this test, the tanks were driven back and forth… a…

Leave a Comment

Massive Engineering Mistakes – Inner Harbour Bridge

일명 Kissing Bridge라 불리는 Inner Harbour Bridge가 Season2-Episode4에 소개된다. 워낙 욕(?)을 많이 먹어 관련 글들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초기 기술적인 문제로 인한 논란은 그렇다 치고 복잡한 동선때문에 보행자나 자전거 라이더들의 안전을 위해하는 문제로 자전거 천국 코펜하겐의 명성에 흠집을 낸 대표적인 교량이다. 가장 신랄하게 이 교량을 비판하는 글에 재미있는 용어가 나오는데 ‘magpie architecture’와 ‘squiggletecture’이다. The bridge is nothing more…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