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태그:] psc box girder

Context Sensitive Solutions

‘Context Sensitive Solutions(이하 CSS)’ 이라는 것이 있다. Context Sensitive Design, Thinking Beyond the Pavement, Place Sensitive Design 등이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우리말로 번역을 해볼려고 했지만 짧은 영어 실력으로 적당한 표현을 찾을 수가 없었다. CSS를 FHWA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a collaborative,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at involves all stakeholders to develop a transportation facility that fits its physical setting and preserves scenic,…

Leave a Comment

PCA 2006 Concrete Bridge Award Winners(8)

1. The Guadalupe County I-40 Overpass Bridges, Guadalupe County, N.M 2. Elk Avenue/Doe River Bridge Rehabilitation, Elizabethtown, Tenn. 3. Moose Creek Bridge, Timmins, Ontario, Canada 4. Perry Street Bridge, Napoleon, Ohio 5. Brady Street Bridge, Milwaukee, Wis. 6. University Avenue Arched Pier Bridge over I-74, Peoria, Ill. 7. Four Bears Bridge, New Town, N.D. 8. Noyo River Bridge, Fort Bragg,…

Leave a Comment

PCA 2006 Concrete Bridge Award Winners(7)

1. The Guadalupe County I-40 Overpass Bridges, Guadalupe County, N.M 2. Elk Avenue/Doe River Bridge Rehabilitation, Elizabethtown, Tenn. 3. Moose Creek Bridge, Timmins, Ontario, Canada 4. Perry Street Bridge, Napoleon, Ohio 5. Brady Street Bridge, Milwaukee, Wis. 6. University Avenue Arched Pier Bridge over I-74, Peoria, Ill. 7. Four Bears Bridge, New Town, N.D. 8. Noyo River Bridge, Fort Bragg,…

Leave a Comment

New I-35W Bridge Design

붕괴된 I-35W Bridge를 대신할 새 교량안이 그 모습을 드러냈다. Flatiron-Manson 컨소시엄과 교량 디자인을 맡은 FIGG사는 “Arch, Water, Reflection”이라는 컨셉으로 교각과 상부구조에 곡선을 도입한 PSC Box 거더교 형식 2가지를 Conceptual Design안으로 내놓았다. The primary theme outlined in the design proposal is “Arches, Water, Reflection.” It includes a signature bridge, lighting and landscaping that seeks to paint an archway over the Mississippi…

Leave a Comment

원효대교

‘좋은 환경 · 좋은 건축 21’을 모토로 2005년 12월 21일 출범한 ‘대통령자문 건설기술·건축문화선진화위원회‘에서는 매달 ‘이달의 건축환경문화 작품’을 선정한다. 2006년 제1호 로 선유도공원이 선정된 이래 작년 12월까지 총 9개의 작품들이 뽑혔는데 가장 최근에 ‘원효대교‘가 선정되었다. 원효대교의 작품성은 예전에도 한 번 검증받은 적이 있고 나도 깔끔하면서도 남성미를 가지고 있는 원효대교를 한강의 교량 중 몇 손안에 꼽고 있다. 관련 링크를 접속하면 원효대교에 대한…

Leave a Comment

Felsenau Bridge

Robert Maillart를 계승하여 스위스를 대표하는 가장 유명한 교량 설계가인 Christian Menn의 부각은 prestressed concrete와 그 맥을 같이 한다. Ganter교, Sunniberg교 등 그를 대표하는 일련의 교량들을 언급하기 전에 오늘날 그의 명성을 낳게 한 계기가 되는 우리에겐 조금 낯선 PSC 박스 거더교를 우선 소개한다. Aare 강 계곡부를 횡단하는 6차선의 교량 설계 공모전에 참가한 Christian Menn은 독일의 Ulrich Finsterwalder가 개발한 FCM(Free Cantilever Method,…

5 Comments

American River Bridge

Paul Gauvreau교수의 “The Three Myths of Bridge Aesthetics(교량미에 대해 잘못 알려진 3가지 통념)”에서 지적한 “The Customer Is Always Right (art is not created by artists, but by the public)”의 사례로 나온 미국 California Folsom시 Natoma 호수에 있는 American River Bridge. 주민들이 아치를 원해 구조적으로 필요도 없는 아치 부재를 붙여 놓았다고 한다. 🙂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