엊그제 점심을 하러 잠깐 나갔었는데 운전하기 힘들 정도로 비가 내리고, 도로 곳곳은 침수로 인해 통행이 어려워 애를 먹으며 운전을 했었다. 시간당 100mm이상 비가 내려 침수 피해가 막심할 것 같은데, 특히 농가 피해 규모가 얼마나 될 지 걱정이 된다. 집중호우로 인해 교량이 침수되거나 붕괴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주로 지방하천을 통과하는 소교량들이 이런 피해를 보는데, 이 문제의 원인은 본류보다 지류정비를 늦췄던 과거의…
Leave a Comment[태그:] collapse
Canada의 중요 광물자원 중에 하나는 니켈(nickel)이다. 온타리오 주와 매니토바 주에서 주로 채굴 생산되며, 특히 Sudbury basin 지역(62km x 30km)은 운석 충돌로 형성된 특이한 지질 구조와 그 속에 농축된 세계적 수준의 니켈 광상 덕분에 ‘니켈의 도시’로 불리우며, 현재 캐나다와 세계 광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니켈의 도시 Sudbury를 상징하는 랜드마크는 단연 Big Nickel이다. 지름 약 9m, 무게 약 13 ton으로 1951년 캐나다…
Leave a Comment교량이 붕괴되는 순간이 생생하게 기록되어 있는 대만의 Nanfang’ao Bridge(南方澳大橋)가 Season3-Episode3에 나온다. 공식 조사 보고서는 중국어로 되어 있어 영어로 된 요약 내용만 링크한다. 2019년 10월 1일 오전 9시 30분, 대만 난팡아오 어항에 위치한 Nanfang’ao Bridge가 갑작스럽게 붕괴되었다. 이 사고로 교량 아래 정박해 있던 3척의 어선이 파손되었고 어민 6명이 사망하였다. 당시 교량을 건너던 유조차량은 통과 직전 추락하였는데 천운이라 할 정도로 목숨을 잃지는…
Leave a Comment교량붕괴 역사에서 참사 중 하나로 자주 소개되는 West Gate Bridge 붕괴사고가 Season3-Episode2에 나온다.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어 Understanding Bridge Collapses에 나온 내용을 중심으로 요약 정리했다. 1970년 10월 15일, 호주 멜버른에서 건설 중이던 West Gate Bridge의 상판이 무너져 내리며 36명의 근로자가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했다. 사고는 잘못된 설계 판단, 시공 방법, 그리고 무리한 의사결정이 누적되어 일어난 인재였다. (공식 조사 보고서) 사고 당시의…
Leave a CommentSeason3-Episode1에 나오는 I-35W Bridge는 사고 당시에 글을 남긴 적이 있다. 사고 발생 후 거의 20년이 다 되어 가니 그동안 더 많은 정보들이 생성되어 이번 기회에 다시 한 번 정리를 한다. 공식적인 NTSB 보고서가 있어 사고 원인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확인이 가능하다. 직접적인 원인은 U10 절점부에 설치된 gusset 플레이트 두께(1/2″)가 실제 요구되는 구조 성능(1″ 두께이상)에 비해 매우 부족해서 붕괴되었다. NTSB 보고서에서도…
Leave a CommentSeason2-Episode12에 소개되는 교량은 De la Concorde Overpass다. 2006년 9월 30일, 캐나다 퀘벡 주의 오토루트(autoroute) 19번 고속도로 위를 가로지르던 Boulevard de la Concorde 고가도로(overpass) 일부가 갑작스럽게 붕괴되며, 도로 아래를 지나던 차량을 덮쳐 5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했다. 방송에서는 붕괴의 직접 원인으로 캔틸레버 형식의 캡 빔(cantilever pier cap)에서 발생한 전단균열(diagonal shear crack)을 지목했으며, 동결-융해, 염소 이온 침투 등에 따른 콘크리트 열화(deterioration)도 보조 요인으로…
Leave a CommentLake Washington에는 3개의 부교가 있다. Lacey V. Murrow Memorial Bridge, Homer M. Hadley Memorial Bridge, 그리고 세계 최장의 부교인 Evergreen Point Floating Bridge. Season02-Episode11에서는 이 중에서 1990년 붕괴됐었던 Lacey V. Murrow Memorial Bridge를 다룬다. 간략히 정리하면, 교량을 폐쇄하고 방수 해치 신설 등을 위한 보강/보수 공사 중, 1990년 11월 추수감사절 연휴 기간 동안 발생한 집중호우와 강풍으로 폰툰이 침수, 붕괴된 사건이다. 주요…
Leave a CommentSeason2-Episode10에선 Mianus River Bridge 붕괴를 다룬다. 교량은 플레이트 거더교이며 anchor span(혹은 cantilever span, 노란색)과 suspended span(빨간색)이 pin연결된 형식이다. 일반적인 핀행어 방식( Pin and Hanger Assembly) 예시 방송에서 붕괴과정을 설명하는 장면인데, 원인은 부식인데 왜 발생했고 붕괴를 초래했는지에 대한 자세한 분석은 NTSB 보고서에서 확인 가능하나 원본 스캔이라 읽기가 상당히 불편하다. 결론은 관리 부실로 인한 인재(人災) Heinrich Gerber가 고안하여 그의 이름을 붙인 gerber교는…
Leave a CommentFourth Danube Bridge는 이전 글 서두에 소개한 교량인데, 타 교량과 달리 붕괴되지 않고 부분 파손되어 정상적으로 복구 완공된 교량이다. Understanding Bridge Collapses라는 책에 이 교량의 좌굴 파괴에 대한 분석글이 있는데 엔지니어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아 간력히 내용을 옮긴다. 1969년 11월 6일 저녁, 오스트리아 비엔나 Fourth Danube Bridge 건설의 마지막 단계에서 예상치 못한 현상이 발생했다. 건설 현장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폭발음같은…
Leave a Comment1960년대에 빠르게 발전하여 많이 적용된 Steel Box Girder교가 1970년을 전후해서 연이어 붕괴되는 참사가 발생한다. 1969년 오스트리아 Fourth Danube Bridge 공사 중 좌굴로 인해 심각한 변형이 발생했고, 6개월 후 Britannia Bridge가 아이들의 불장난으로 붕괴되었으며, 얼마 후 건설 중이던 Cleddau Bridge 붕괴 사고가 발생했다. 같은 해 10월에는 35명이 사망한 호주 멜버른 West Gate Bridge 붕괴사고, 1971년에도 독일 Koblenz 지역에 건설 중이던 교량이…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