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태그:] collapse

Partial Collapse of Fourth Danube Bridge

Fourth Danube Bridge는 이전 글 서두에 소개한 교량인데, 타 교량과 달리 붕괴되지 않고 부분 파손되어 정상적으로 복구 완공된 교량이다. Understanding Bridge Collapses라는 책에 이 교량의 좌굴 파괴에 대한 분석글이 있는데 엔지니어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아 간력히 내용을 옮긴다. 1969년 11월 6일 저녁, 오스트리아 비엔나 Fourth Danube Bridge 건설의 마지막 단계에서 예상치 못한 현상이 발생했다. 건설 현장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폭발음같은…

Leave a Comment

Massive Engineering Mistakes – Cleddau Bridge

1960년대에 빠르게 발전하여 많이 적용된 Steel Box Girder교가 1970년을 전후해서 연이어 붕괴되는 참사가 발생한다. 1969년 오스트리아 Fourth Danube Bridge 공사 중 좌굴로 인해 심각한 변형이 발생했고, 6개월 후 Britannia Bridge가 아이들의 불장난으로 붕괴되었으며, 얼마 후 건설 중이던 Cleddau Bridge 붕괴 사고가 발생했다. 같은 해 10월에는 35명이 사망한 호주 멜버른 West Gate Bridge 붕괴사고, 1971년에도 독일 Koblenz 지역에 건설 중이던 교량이…

Leave a Comment

Massive Engineering Mistakes – Skagit River Bridge

Season2-Episode7에는 I-5 Skagit River Bridge 붕괴가 소개된다. 차량이 교량과 충돌하여 붕괴된 사고인데, 딱 찝을 만한 설계 오류가 없어 방송에서는 교량의 주부재가 아닌 부부재(secondary member)와의 충돌인데 왜 한 경간 전체가 붕괴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춰 redundancy와 FC(Fracture Critical)에 대해 얘기를 한다. 전반적인 사고 상황은 NTSB(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 보고서 열람이 가능하므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당시 상황을 요약하면, 파일럿 차량(선도 차량으로 화물트럭이…

Leave a Comment

Massive Engineering Mistakes – Hood Canal Bridge

Season2-Episode6에 대표적인 부교(pontoon bridge)인 Hood Canal Bridge의 붕괴사고가 소개된다. 방송에서 나오는 사고 전말을 요약하면, 방송에서는 자세한 언급이 없었지만 관련 자료를 찾아 보면 지정학적 요인에 대한 설명들도 나온다. Hood Canal 지역은 지형적으로 산의 하위측(leeward side)에 위치해 있어, 강한 남서풍이 불 경우 국지적인 기압골(lee trough)이 형성되기 쉬웠다. 특히 바람의 방향이 Hood Canal의 좁고 긴 해협 형태와 일치할 경우, 이 지역은 풍동(wind tunnel)과…

Leave a Comment

Massive Engineering Mistakes – Cypress Street Viaduct

1989년 10월 17일 지진으로 붕괴된 Cypress Street Viaduct 가 Season2-Episode5에 소개된다. (참고로, Episode5에는 Tacoma Narrow Bridge도 소개되는데 너무 유명한 교량 붕괴사고라 생략한다.) 당시 연일 방송언론에 교량이 붕괴된 처참한 장면들이 나와서 기억이 나는데 30여년이 훌쩍 지난 일이었다니 세월의 흐름을 실감치 않을 수 없다. 사고 초기에 발표된 2건의 보고서가 공개되어 있어 사고 당시 상황 및 원인을 개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보고서들은 UC…

Leave a Comment

Massive Engineering Mistakes – Ironworkers Memorial Second Narrows Crossing

‘제3한강교’, ‘창밖에 잠수교가 보인다’, ‘비 내리는 영동교’ 그리고 ‘양화대교’ 등 제목에 교량명을 사용한 대중가요들이 있는데 가사 내용은 교량과는 전혀 무관하고 메타포적으로 교량명을 사용했다. 국내 가요에 국한해서 일반적으로 대중가요 가사 속에 나오는 교량은 교량 자체보다 시대상의 표현 수단으로 이용된다. 교량과 직접 엮여 있는 이벤트(event)들로 만든 노래들도 있을까? 국내에선 찾기 힘들고 ‘London Bridge is Falling Down’이라는 영국 구전 동요가 제일 먼저 떠오른다.…

Leave a Comment

Massive Engineering Mistakes – Malahide viaduct

Season1-Epidose7에는 아일랜드 Malahide의 Broadmeadow강에 있는 교량이 나온다. 공식 교량명은 Malahide Viaduct 같은데 Wiki는 Broadmeadow Viaduct로 검색된다. 운행 중이던 철도 기관사의 기지로 사전에 대형 참사를 면할 수 있었는데, 세굴로 인해 교각을 지지하는 사석 위어가 유실되면서 발생한 사고였다. 정확한 사고 원인에 대해서는 단편적인 방송 내용보다 공식적인 사고 보고서를 온라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고 보고서를 보면 위어(weir) 일부가 유실되어 흐름이 비정상적으로 바뀌었는데도 빠른…

Leave a Comment

Massive Engineering Mistakes – Kinzua Bridge

The Last of Us라는 초대박 플스 게임이 있다. 게임을 직접 해보지 않아 재미의 정도를 알 수 없지만 이 게임을 실사화한 HBO 드라마는 재미있게 보았다. 좀비로 멸망한 세상에서 서부를 향해 미대륙을 횡단하는 두 주인공의 여정을 주소재로 하는데, 로드무비 성격상 근사한 자연경관이나 시설물들을 보여준다. 주인공들이 탄 픽업 뒤로 붕괴된 철도교 장면이 나오는데 건설된지 100년도 더 된 Lethbridge Viaduct (aka High Level Bridge)이다.…

Leave a Comment

State of the art Millennium bridge

(photo courtesy of budowle.pl) 올해로 25년을 맞은 Millennium bridge 보수가 입찰공시 되었는데, 보행자 안전을 위한 미끄럼방지 교면 재시공 등을 포함, 약 3.5mil파운드의 사업비가 책정되었다. 2000년 6월 밀레니엄을 기념하기 위해 개통된 교량은 예상치 못한 흔들림(lateral sway)때문에 안전성 확보를 위한 댐퍼설치 등의 보강을 거쳐 2002년 2월에 재개통되어 현재까지 공용되고 있다. 교량위에서의 시야(전망) 확보를 위해 케이블을 최대한 낮게 배치한 shallow (low profile) suspension교로…

Leave a Comment

Mass Of Tourists Caught In Bridge Collapse In China

 40명 정도 무게를 견딜 수 있는 교량에 먼저 건너려는 사람들이 갑자기 많이 몰려 들어서 사고가 발생하였다. 다행히도 사망자나 큰 부상자가 없었다지만 이런 사고를 통해 먼저 앞서 갈려고 하는 개인의 욕심들이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 한 번쯤 다시 생각해 볼 만 하다. Hundreds of tourists crossed bridge to see Lushan Mountain in Jiujiang city. But dozens of tourists plummet into lake after…

Comments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