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태그:] arch

Sixth street bridge

교량은 차나 사람이 통행하는 교면(deck)의 위치에 따라 일반적으로 상로교, 하로교 그리고 중로교로 구분하며, 아치교에 적용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상로아치교(deck arch bridge) 하로아치교(through arch bridge) 중로아치교(half-through arch bridge) (images courtesy of  Innovative bridge design handbook) 아치리브(rib)는 주로 강재(steel)가 많이 사용되는데, deck…

Leave a Comment

Sanhao Bridge & One of Incheon Bridges

ASCE Civil Engineering 매거진 2월호에 Sanhao Bridge에 관한 기사가 실렸다. 저명한 T.Y.Lin사에서 설계한 교량인데 우리나라의 교량박물관이라 칭할 만한 인천대교 접속교에 건설되어 있는 사장교와 유사한 모양이다. 유사하기 보다는 외관은 거의 같다. 🙂 외관상만의 주요 구조 차이점은 주탑과 주탑을 연결하는 케이블의 배치…

2 Comments

Ling Tie Bridge

어떤 이가 Erasmus Bridge와 Ling Tie Bridge를 비교하며 Ling-Tie Bridge에 대해 극찬한 글을 보고 약간 어이가 없어 🙂 내 생각을 적는다. 이 교량에 대해서는 몇 년전 이 곳에서 처음 접했는데(첨부 pdf파일 참조) 그 당시 생각이 ‘과연 이 교량이 이대로 제대로…

2 Comments

월영교

안동의 월영교라는 교량이다. 상부구조의 주형식은 강관을 이용한 상로 아치교이고 특이하게도 상판과 난간을 목재로 만들었다. 주부재가 강관이라 강아치교가 맞을텐데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목교라 일컫는다. 교량 자체보다도 이 교량에 서려 있던 이야기가 더 많이 알려져 있다. 월영교는 이응태 부부의 아름답고 숭고한 사랑을…

Leave a Comment

North Shore Footbridge

아치교에선 흔치 않은 비대칭 two arch 형식의 North Shore Footbridge 관련 시공 동영상 Tees Valley Regeneration – North Shore Bridge, Stockton과 사진1, 사진2

Leave a Comment

Clos-Moreau Bridge

앞 글에 링크한 Michel Virlogeux의 인터뷰 기사에 언급되어 있는 교량인데 보도를 아치에 설치한 발상이 경이롭다. 확실히 토목은 이런 면에서 약하다. 구조물 자체에만 관심을 두지 인간과 구조물의 공생을 생각하지 못한다. Michel Virlogeux도 이런 발상을 이끌어 낸 건축가의 생각을 높이 샀다. 건축가들과의…

Leave a Comment

구불텅 교량

요즘 관심을 가지고 재미있게 보고 있는 싸이트 중 하나가 The Happy Pontist라는 곳으로 교량 엔지니어인 어느 영국인이 교량과 설계에 관한 글을 적고 있다. 내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나와 비슷한 시각으로 건축가들이 만든 교량을 보기 때문이다. 🙂 몇 일전 그가…

2 Comments

Stari Most

World’s Most Interesting Bridges라는 글을 읽다 흥미를 끄는 교량이 있어 소개한다.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모스타르(Mostar)시에 있는 Stari Most라는 교량이다. 영어로 ‘오래된 다리(Old Bridge)’라는 뜻의 Stari Most는 Neretva강을 가로지르며, 16세기에 터키의 유명한 건축가인 Mimar Hayruddin에 의해 건설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지간 30m, 교폭 4m의 곱사등이 모양의 석조 아치교로 카톨릭계인 크로아티아와 이슬람계인 보스니아 민족간의 이질적인 문화를 연결하는 상징으로 존속되어 오다 내전때인 1993년 크로아티아에 의해 파괴되었다가 2004년 재건, 복원되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