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2-Episode4에서는 2개의 교량을 다루는데 그 중 하나가 Sunshine Skyway Bridge이다. 이 교량에 대해서는 예전에 쓴 글이 있어 링크로 대신한다. 과거부터 계속 선박충돌이 있었는데 대비책을 세우지 않은 것은 engineering mistake라기 보다 주정부의 행정이나 정책 탓으로 보는 것이 더 합당하지 않을까? 이런 사고를 계기로 선박 충돌에 대비한 교각 보호시설들이 개발되고 공학 기술/안전은 한 단계 발전을 거듭해 왔다. 그럼에도 작년에 일어난 Francis Scott…
Leave a Comment[태그:] accident
Season2-Episode3에는 시공중이던 교량의 붕괴로 6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FIU(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Pedestrian Bridge 붕괴사고를 다룬다. 최근에 발생한 사고라 연방 교통안전위원회(NTSB, 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 자료도 Youtube에 올라와 있어 상세한 내용 확인이 가능하다. NTSB 보드 미팅에서 발표된 사고 개요 3시간여 가량의 NTSB 보드 미팅 전체본 전단력을 과소평가하고 전단마찰저항을 과대평가한 교량 엔지니어 잘못이 제일 크다. 설계오류는 그렇다치고 균열폭이 기준에 비해 40배, 균열깊이…
Leave a CommentSeason1-Epidose7에는 아일랜드 Malahide의 Broadmeadow강에 있는 교량이 나온다. 공식 교량명은 Malahide Viaduct 같은데 Wiki는 Broadmeadow Viaduct로 검색된다. 운행 중이던 철도 기관사의 기지로 사전에 대형 참사를 면할 수 있었는데, 세굴로 인해 교각을 지지하는 사석 위어가 유실되면서 발생한 사고였다. 정확한 사고 원인에 대해서는 단편적인 방송 내용보다 공식적인 사고 보고서를 온라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고 보고서를 보면 위어(weir) 일부가 유실되어 흐름이 비정상적으로 바뀌었는데도 빠른…
Leave a CommentThe Last of Us라는 초대박 플스 게임이 있다. 게임을 직접 해보지 않아 재미의 정도를 알 수 없지만 이 게임을 실사화한 HBO 드라마는 재미있게 보았다. 좀비로 멸망한 세상에서 서부를 향해 미대륙을 횡단하는 두 주인공의 여정을 주소재로 하는데, 로드무비 성격상 근사한 자연경관이나 시설물들을 보여준다. 주인공들이 탄 픽업 뒤로 붕괴된 철도교 장면이 나오는데 건설된지 100년도 더 된 Lethbridge Viaduct (aka High Level Bridge)이다.…
Leave a CommentSeason1-Episode2에는 Campo Volantin Footbridge 일명 Zubizuri Bridge가 나온다. Santiago Calatrava의 작품으로 이래저래 말이 많았던 그래서 더 유명해진 교량이다. 이 교량이 소개된 이유는 교면이 유리라서, 행여 비라도 와서 젖게 되면 건너다가 미끄러지는 사례가 다수 발생했기 때문이다. 얼마나 미끄러운지 SlipAlert 장비를 이용하여 확인했는데 SlipAlert Test Value (STV) 205가 나왔다. 참고로 STV에 따른 위험도는 아래 그래프와 같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Bilbao시 당국은 교면에…
Leave a CommentMassive Engineering Mistakes 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영국 Discovery 채널에서 2019년 부터 6시즌에 걸쳐 방영된 것으로 제목 그대로 엔지니어링 실수로 인한 대형 사고와 재난 그리고 이를 어떻게 해결했는지 그 과정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으로 엔지니어들한테는 도움이 많이 되므로 방법을(?) 찾아 시청을 권유한다. 각각의 시즌은 10여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교량들만 소개하려고 한다. 첫 번째로 Season1-Episode1에는 Millennium Bridge가 나온다. 저번 글에서도 소개한 적이…
Leave a Comment배재대 이경찬교수가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이번 사고 및 교량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한다. 이런 분들을 언론에서는 왜 인터뷰를 안하지?
Leave a Comment시공 중이던 교량이 붕괴되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다. 정확한 사고 경위가 나와 봐야 알겠지만, 붕괴시 동영상으로만 보면 런처 이동중 가설되어 있는 거더가 횡방향으로 전도되면서 도미노처럼 무너진 것을 볼 수 있다. 으레 이런 사고가 발생하면 언론사들은 관련 전문가를 통해 사고 경위에 대한 추측성 기사를 내놓는데, 종종 언론사에서 전문가를 제대로 선정했는지 의문이 들 때가 있다. 교량사고면 당연히 교량에 대한 구조 혹은 시공 전문가…
Leave a Comment사장교나 현수교의 케이블에 눈이 쌓이는 경우가 있다. 뭐 큰 문제가 되겠냐 싶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고 실제로 쌓인 눈이 떨어져서 지나가는 차에 피해를 준 경우가 있었다. 대표적으로 카나다 Port Mann Bridge 가 2012년에 이런 사고로 인해 송사에 휘말렸었고, 지금도 눈이 많이 오면 제설작업이 끝날때까지 안전을 위해 임시 폐쇄하곤 한다. 케이블에 쌓인 눈은 어떻게 치울까? Mechanical 혹은 thermal system들이 연구 적용되고 있지만,…
Leave a Comment3년전 미국에서 일어났었던 일이 우리나라에서 재현되었다. 서울 외곽순환도로 중동IC 근처 고가 아래에 주차중이던 유조차 화재로 인해 교량 60m가량이 파손되어 교체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화재 원인이 돈 몇 푼 챙기려 한 운전자의 과실로 밝혀져 그야말로 기가 막히고 코가 막히는 어이없는 일이 발생한 것이다. (photo courtesy of 문화일보) (photo courtesy of 연합뉴스) (photo courtesy of 경향신문) 안전진단을 실시한 전문가들이 ‘폭열에 의한 하부구조의 심각한…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