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courtesy of Newly Swissed) 지금은 인도교로 사용되고 있는 Trient Bridge (Pont Trient, Gueuroz Bridge, Pont du Gueuroz)에서 케이블을 내걸고 그 밑에서 목욕을 하는 사람들의 모습이다 🙂 위로 노란 버스가 다니는 교량이 새로 만들어진 New Trient Bridge이며 구교는 콘크리트 아치, 신교는 강합성으로 되어 있다. 모험을 즐기는 이들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여기 참조.
2 CommentsBridgeworld.net Posts
금년 작품상은 4개 밖에 안되며 PC콘크리트기술협회상과 전부 일치한다. 강교가 아닌 콘크리트교가 전부 선정되었다는 것이 특이하다. 전중상 영문 소개 1. コロラドリバー橋 (Colorado River Bridge) 2. 余部橋りょう 3. 羽田空港D滑走路 連絡誘導路橋 4. 不動大橋
Leave a CommentAkkerwinde Bridge(aka Sneek Bridge)를 통해 유명해진 Accoya Wood를 적용한 Moses Bridge. 많은 교량들을 보았지만 이런 형식의 교량은 아마도 세계 최초일 것 같다. 비가 많이 와 물이 넘치면? 등등 이런 저런 걱정이 들기도 하겠지만 그냥 닥치고 감상 🙂 얼마나 멋진 아이디어인가? Ro-Ad 작품.
1 Comment처음엔 뽀샵인지 알았는데 콘크리트 위에 정원을 만든 실물이다. 우리나라에 도입해도 히트칠 만 한 아이템이다.
2 CommentsJanuary : Mike O’Callaghan–Pat Tillman Memorial Bridge, Nevada (Photo courtesy of Jamey Stillings) February : Bridge of Aspiration, London (Photo courtesy of Darrell Godliman) March : Woodrow Wilson Bridge, Virginia–Maryland (Photo courtesy of Kenneth Platto) April : Purple People Bridge, Cincinnati, Ohio 링크 이미지의 해상도가 너무 낮아 다른 이미지로 대체 May : Golden Gate Bridge, San Francisco, California (Photo courtesy…
Leave a CommentThe art of moulding materials we do not really understand into shapes we cannot really analyze, so as to withstand forces we cannot really assess, in such a way that the public does not really suspect. -E. H. Brown-
Leave a Comment동호의 변윤주 부사장께서 토목학회지에 ‘토목분야의 미관디자인은 누가 주도해야 하는가?(Who Should Lead the Aesthetic Design in Civil Engineering Field?)‘라는 글을 쓰신 적이 있는데 구구절절 다 옳은 말이고 그 중 공감하는 몇 부분을 옮긴다. 이미 알고 있는 바와 같이 특히 교량구조는 상징성을 띤 단순한 조형물이기에 앞서 막대한 국민의 세금으로 건설되는 시설물이기 때문에 누가 뭐래도 경제적이어야 하고, 기능이 우수하며, 향후에 투입될 유지관리 또한…
Leave a Comment이용객없는 42억짜리 수원시 호화판 경관육교 프랑스어 grands travaux inutiles는 ‘쓸모없는 대공사‘란 의미로 만들어 놓고 제대로 사용되지 않는 시설물을 말하는데 지어 놓고 파리만 날리고 있는 OO국제공항 등을 그 예로 떠올릴 수 있다. 기사에서 언급한 교량이 이런 시설물이란 의미는 아니고 기사 내용과 부합되는 단어를 찾다 이런 거창한 제목을 달게 된 것 뿐이니 혹시 본 교량 건설에 참여하셨던 관계자분들이 이 글을 보게 되더라도…
Leave a CommentAqua Art Bridge를 디자인한 D.P.J. & Partners의 새로운 교량 네이처 테크 브리지(Nature Tech Bridge) (photo courtesy of D.P.J. & Partners) 교량을 설계한 D.P.J. & Partners의 잘리콩(David-Pierre Jalicon)씨는 동양의 풍수설을 건축설계에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Nature Tech Bridge는 설득력이 좀 약한 것 같고 그나마 Aqua Art Bridge의 경우는 불의 기운이 강한 우면산과 조화를 맞추기 위해 물을 사용했다고 하니 앞뒤가 맞다. 외국인이 동양사상을…
Leave a CommentHappy Pontist에 소개된 2011 Footbridge Awards를 정리한다. 2002년 파리, 2005년 베니스 및 2008년 포르토에서 개최된 행사는 올해 7월6일 폴란드 Wroclaw에서 제4회 대회를 열어 총 6개 부문의 수상작을 발표하였다. 수상은 크게 미(aesthetics)와 기술(technical) 두 부문으로 나누고 각각 최대경간장에 따라 Short span (30m미만), Medium span (30m ~ 75m), Long span (75m초과) 3개의 부문으로 다시 나눈다. 교량의 면모를 아래에서 보면 알수 있듯이 건축가들의…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