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nter교, Sunniberg교, Zakim Bunker Hill교 등의 설계를 했던 유명한 교량 엔지니어인 Christian Menn 교수의 최근 작품인 Grimsel Lake Bridge. 독특한 주탑 모양이 대가의 작품임을 느끼게 해준다. (고해상도 사진 보기, 630k) + 관련기사 : Cable stayed bridge over Lake Grimsel Main Dimensions : Total length and main span 350 m, height 76 m Special Features (new at the time of construction)…
Leave a CommentBridgeworld.net Posts
SK건설이 (주)브이테크,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과 함께 복합재료 지진격리받침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폴리에스터 복합재를 이용한 마찰 진자형 지진격리받침’은 국내 최초로 복합재료를 이용해 만든 면진방식의 지진격리받침이다. 지진격리받침은 교량과 초고층 건물의 지진격리에 적용하는 기술로 지진 발생시 구조물의 주기증가와 마찰감쇠작용으로 지진 하중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며, 교량과 초고층건물 시공에 필요한 건축재료다. 무게는 기존 제품의 1/7 수준이어서 유지보수에도 유리하고, 가격은 60% 수준으로 낮췄다. 특히 폴리에스터 복합재를 이용, 부식이…
1 Comment세계 최장의 교량은 일본의 아카시대교 (Akashi Kaikyo Bridge)이다. 여기서 ‘최장(longest)’은 교량 전체의 길이(연장 혹은 교장)를 의미하지 않고 교각과 교각의 거리(경간 혹은 지간)를 의미한다. 연장으로 세계에서 제일 긴 다리는 현재 기네스북에 등록되어 있는 자료에 의하면 미국의 Lake Pontchartrain Causeway이다. 태풍 Katrina로 엄청난 피해를 받은 뉴올리언스에 있는 미국에서 두번째로 큰 해수호 Pontchartrain를 가로지르는 이 도로는 교량으로 길이가 자그마치 38.422 km나 된다. (고해상도…
7 Comments이쑤시개로 멋진 교량 만들기
Leave a CommentHSBA에 있는 교량들을 보여 주는 전체도
Leave a Comment포르투칼의 Douro 강위에 있는 콘크리트 아치교 형식의 Arrábida Bridge.
1963년 개통 당시에는 세계에서 제일 긴 콘크리트 아치였다. 포르투칼의 유명한 교량 엔지니어이자 교수인 Edgar Cardoso의 작품.
Leave a Comment안전진단 평가등급이 ‘D’라함은 “주요부재에 결함이 발생하여 긴급한 보수보강이 필요하며 사용제한 여부를 결정하여야 하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예산 타령으로 이를 방치하고 있는 공무원들의 직무유기가 맞다. 시설물의 평가등급 A : 문제점이 없는 최상의 상태 B : 보조부재에 경미한 결함이 발생하였으나 기능발휘에는 지장이 없으며 내구성 증진을 위하여 일부의 보수가 필요한 상태 C : 주요부재에 경미한 결함 또는 보조부재에 광범위한 결함이 발생하였으나 전체적인 시설물의…
Leave a Comment우측 사이드 메뉴 링크란에 그동안 올려 두었던 ‘교량뉴스’ 게시판을 삭제했다. 중요한 글 몇 개를 이 곳으로 옮기고 옛 정이 가득한 게시판은 과감히 삭제했다. 거의 대부분의 자료가 신문기사를 스크랩한 것이기 때문에 저작권 문제도 있고 해서 🙂 과감히 삭제 조치했다. 이제 게시판 중 ‘한강의 교량’만 어떻게 처리하면 될 것 같은데 아직도 이 곳을 찾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한강의 교량’을 통해 들어오고 있으니 이럴수도…
Leave a Comment2001년 3월 주간동아 특집기사 ‘한강에는 다리가 없다’ 물위에 떠있는 예술품 꿈꾸는 한강’을 보고 싶다 ‘문화의 옷’ 입히기 아름다운 실험
Leave a Comment출처인 월간중앙에서 관련 글을 찾을 수 없어 예전 게시판에 옮긴 전문을 실른다. 템스강엔 타워브리지, 센강엔 퐁네프, 한강엔 성수대교가 있다? 한강은 아름답다. 그리고 도도하게 흐른다. 폭이 1천m가 넘는 넓은 물줄기를 도심 한복판에 갖고 있는 도시가 얼마나 될까. 그 한강 위에 지난 1백년 동안 20개 넘는 다리가 놓였다. 그들에게는 저마다 애환이 서려 있다. 그러나 한강의 다리들은 아름다운 한강을 제대로 살려 주고 있는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