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서핑 중 우리나라 전통교량을 소개하는 두 권의 책을 만났다.
Leave a CommentBridgeworld.net Posts
Willis Avenue Bridge라는 뉴욕에 있는 다리를 단돈 1달러에 판단다. “맨해튼 다리 1달러에 팝니다” City Wants to Part With Bridge That Links Bronx and Manhattan
Leave a CommentLehigh 대학에서 제공하는 19세기 교량관련 eBook, Digital Bridges
Leave a CommentNew Tacoma Narrow Bridge의 케이블은 전에 언급했듯이 우리나라 회사에서 공급을 한다. 이제 보니 상부구조도 우리가 만들고 있다.
Leave a CommentSOM(Skidmore Owings & Merrill Foundation)에 있는 리포트들 중 Santiago Calatrava가 디자인한 Alameda Bridge.
Leave a Comment서울시 관계자는 “1980년 성산대교 건설 당시에 정부 고위층이 지시해 일부러 만들었다”고 했다. “배 타고 한강으로 진격하는 적에게 대포나 총을 쏘기 위한 것”이라는 증언이다. [성산대교 난간의 저 구멍은 뭐지?] 대포구멍이라고? 🙂 학창시절 교수님에게 직접 들은 이야기로는 그 당시 성산대교는 김포공항에 내려 청와대로 갈 때 외국 인사들이 처음 마주치는 다리라 근사하게 보여야 할 필요가 있어 정부 고위 관리자가 교량을 예쁘게 꾸며보라고 건축과…
Leave a Comment“새다리“라 불리는 창원 주남 돌다리
Leave a CommentPaul Gauvreau교수의 “The Three Myths of Bridge Aesthetics(교량미에 대해 잘못 알려진 3가지 통념)”에서 지적한 “The Customer Is Always Right (art is not created by artists, but by the public)”의 사례로 나온 미국 California Folsom시 Natoma 호수에 있는 American River Bridge. 주민들이 아치를 원해 구조적으로 필요도 없는 아치 부재를 붙여 놓았다고 한다. 🙂
Leave a Comment세계 최대의 바이오 테크놀로지 기업인 AMGEN사는 워싱톤주 시애틀에 연구개발 단지를 설립하면서 Elliott Avenue 와 Burlington Northern Railroad를 가로질러 자사와 Elliott Bay Park를 연결하는 보도교를 구상하였다. 설계사인 Johnson Architecture와 KPFF Consulting은 ‘생명공학과 의약’이라는 AMGEN사의 이미지에 부합하는 교량 형식을 ‘유전자의 이중나선 모양을 구체화’ 시킨다는 컨셉으로 독특한 모양의 아치교인 Helix Pedestrian Bridge를 만든다. Concepts for the pedestrian bridge were developed in a series…
1 Comment울산매일신문이라는 지방 일간지에 연재되고 있는 ‘수필가 배혜숙의 옛 다리 이야기’라는 칼럼. 물과 바람이 만든 다리 태안사 능파교 실개천의 무지개 영산 만년교 함평 고막천 석교 남원 오작교 진천 농다리 달성 척진교 (update 2006.02.08) 주남 새다리 (update 2006.05.03) 청계천 광통교 (update 2006.05.03) 옥천 청석교 (update 2006.06.08) 선암사 승선교 (update 2006.06.08) 송광사 청량각 (update 2006.11.18) 흥국사 홍교 (update 2006.11.18) 벌교 홍교 (update 2006.11.18)…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