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의 Precast Segmental Box Girder교인 Choisy le Roi Bridge 등을 설계한, PC 교량의 설계 및 시공분야에서 위대한 업적을 남긴 Jean M. Muller의 생애와 그가 남긴 교량들에 관한 글이 PCI저널 2006년 3/4월호에 ‘Jean M. Muller : Bridge Engineer with Flair for the Art Form‘의 제하로 실렸다.
Leave a CommentBridgeworld.net Posts
마산과 창원을 잇는 마창대교, 거제와 부산을 잇는 거가대교 등 다리 공사가 한창이다. 사람들은 보통 바다를 가로지르는 큰 다리라야 ‘대교’라는 말을 붙인다고 알고 있다. 전문가들은 꼭 그렇지는 않다고 했다. 그렇다면 어떤 기준에 따라 다리 이름에 ‘대교’를 붙일까. 이에 대해 건설기술자와 학자, 관계 공무원의 대답이 모두 달랐다.[‘대교’와 ‘다리’사이엔 무엇이 있나] 대교를 영어로 표기하면 ‘grand bridge’이다. ‘grand bridge’로 구글 검색을 하면 제일 먼저…
Leave a Comment2.1로 업그레이드를 했다. 기존 DB에서는 업그레이드가 안돼 utf-8 DB를 새로 만들어 기존 DB 중 워드프레스 관련 테이블을 백업 이전 후 업그레이드를 완료했다. 사족) 1. 하는 김에 제로보드 4로 만든 게시판만 기존 DB에 남기고 나머진 모두 이전 완료. 2. Jerome’s Keywords Plugin 작동 이상. 메타 태그에 키워드가 안나온다.
Leave a Comment요즘 Santiago Calatrava가 디자인한 이태리 베니스에 건설 중인 교량, Rialto Bridge(1588), Accademia Bridge(1932), 그리고 Scalzi Bridge(1934)에 이어 70여년만에 네 번째로 건설되는 새로운 교량인 Piazzale Roma Footbridge(가칭)에 대해 외국 언론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 교량에 대해선 일전에 Santiago Calatrava MIT 강연 내용이라는 글로 소개한 적이 있다. 아치 형태의 beam으로만 되어 있는 새로운 형식의 교량이었고 그의 도전적인 정신을 높이 사서 소개했었다.
Leave a Comment태그를 만들기 위해 Jerome’s Keywords Plugin을 설치했다. 설치과정이 상당히 복잡하여 나중에 uninstall을 위해 정리를 한다.
Leave a CommentSpain Merida시 Guadiana강을 가로지르는 교량 중 2000년전 로마시대때 건설된 석조 아치교량을 대신할 목적으로 1991년 완공된 교량인 Lusitania Bridge. Santiago Calatrava는 스페인을 대표하는 투우, 즉 황소에서 그 디자인 모티브를 가지고 왔다. 4.45m x 5.50m 크기의 콘크리트 박스에 7.00m 캔틸레버를 갖는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인도 부분인 가운데 박스부가 캔틸레버부보다 1.50m 정도 높게 되어 있다. 총 연장은 465m이고 아치부 주경간장은 189m이나 양단 29m를…
Leave a Comment작년 12월 8일 여수국가산단 진입도로 개설공사 3공구는 가칭 ‘1545 Bridge’를 설계한 대림산업컨소시엄으로 결정되었다. 교량형식은 현수교이며 주경간장은 국내 최장인 1545m를 적용하였는데 1545라는 숫자가 가지는 의미는… 이순신 장군이 태어난 해라는 것이다. 🙂 경간장 뿐아니라 이순신 장군 동상, 거북선을 형상화한 앵커부 등 많은 부분에 이순신 장군 컨셉이 도입되었다. 총 연장 8.55Km에 사업비 8800여억원이 투입되는 이 공사는 ▲1공구 여수-묘도간 사장교구간(1,945m) ▲2공구 묘도-육상부구간(3,272m) ▲3공구 묘도-광양제철소…
1 Comment‘좋은 환경 · 좋은 건축 21’을 모토로 2005년 12월 21일 출범한 ‘대통령자문 건설기술·건축문화선진화위원회‘에서는 매달 ‘이달의 건축환경문화 작품’을 선정한다. 2006년 제1호 로 선유도공원이 선정된 이래 작년 12월까지 총 9개의 작품들이 뽑혔는데 가장 최근에 ‘원효대교‘가 선정되었다. 원효대교의 작품성은 예전에도 한 번 검증받은 적이 있고 나도 깔끔하면서도 남성미를 가지고 있는 원효대교를 한강의 교량 중 몇 손안에 꼽고 있다. 관련 링크를 접속하면 원효대교에 대한…
Leave a Comment평양에서 1,500년 전에 만든 교량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