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Bridgeworld.net Posts

스킨 변경

계절도 바뀌었고 업그레이드 했으니 뭔가 색다른 면모를 보여야 할 것 같아 테마 변경을 했다. 가을과 어울리는 ‘fall season‘이란 fluid width(윈도우 창크기에 따라 내용물이 맞게 변경된다)가 적용된 테마이다. 낙엽색(어찌 보면 똥색)이 주를 이루어 좀 칙칙한 면도 있지만 시원시원 해보이는 장점도 있다. 인덱스에 intro를 적용할 수 있어 색다른 효과도 준다. 덧붙임) 기존 태그를 살릴까? 말까? Jerome’s Keywords 플러그인을 버리고 워프에서 제공하는 디폴트…

Leave a Comment

WordPress 2.3 업그레이드

index를 손보면 되는 정말 아무 것도 아닌 에러였는데 DB가 엉켰는 줄 알고 그래서 하위버전으로 되돌아 갈려고 늦은 밤까지 계정/DB 복원하느라 쇼를 했다. 자고로 무식하면 손발이 고생한다는 말… 정말 딱 맞는 말이다. 어쨌거나 업그레이드 완료.

1 Comment

실패로부터 배운다

미국 듀크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이며 저명한 공학 칼럼리스트인 Henry Petroski 교수가 금번 I-35 Bridge 붕괴사고와 관련하여 LA타임즈에 기고한 글 중에서, In bridge design, as in all structural engineering, success can breed hubris and catastrophe, while failure nurtures humility and caution. [Learning from bridge failure]

Leave a Comment

다리와 교량

아름다운 우리말인 ‘다리’를 적극 사용하자는 글을 소개한다. 다리의 한자어인 교량(橋梁)에는 이런 다양한 의미가 부여되어 있지 않다. 겨우 ‘교량 역할’이라는 말이 ‘다리가 되어 주게’의 의미를 가질 뿐이다. 그렇다면 교량보다 훨씬 더 생산적인 다리를 좀 광범히 사용해야 하지 않을까? 한강에 걸쳐 놓은 무수한 다리 이름이 모두 ‘무슨 대교’로 되어 있다. 왜 ‘무슨 다리’라고 하지 못할까? ‘한강 다리’를 ‘한강 대교’로 바꿔 부르면 우리…

Leave a Comment

한강교량은 안전합니까?

안전하다고 합니다. ps)원본 글은 서울시 홈페이지에 있는데 해당글에 대한 고유 링크가 없어 링크를 할 수 없다. 보도자료에 ‘한강교량은 안전합니다’라는 제하로 실려 있으며 첨부파일을 통해 자세한 정보등을 제공한다. (Update) 썬로드님이 찾아 주신 고유링크

1 Comment

새똥

‘비둘기의 배설물이 I-35W Bridge 붕괴의 한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가디언지는 이를 ‘guano theory‘라 표현했는데, 배설물에 포함되어 있는 암모니아와 소금 성분이 빗물과 반응하여 강재의 부식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한다. 배설물을 표현하는 영어 단어인 dung은 일반적인 동물의 배설물을 의미하고, 스페인어인 guano는 조류(흔히 바닷새)의 배설물이 시간이 지나 응고 퇴적된 것을 말한다. 검색을 해보니 guano에 얽힌 재미있는 정보들이 있다. 그…

Leave a Comment

Fourth bridge on the Grand Canal in Venice

전에 보편적 디자인 사례로 소개한 적 있던 이탈리아 베니스 운하를 가로지르는 Santiago Calatrava의 새 교량의 건설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그 당시 문제시 되었던 점에 대해서는 최종적으로 어떤 대안이 결정되었을까?

Leave a Comment

미국의 사장교

John A. Weeks라는 사진 작가가 정리한 미국내 사장교 현황 While cable stayed bridges are popular in Europe and Asia, they are just starting to catch on in North America. The Hale Boggs Bridge near New Orleans was a pioneer in the early 1980’s. A few other smaller bridges were built in the late 1980’s. The art of the cable stayed…

Leave a Comment

문명과 문명을 이어주는 장대교량

특허청에서도 이런 보도자료를 내는구나. 이제 교량은 지역과 지역, 국가와 국가, 나아가 문명과 문명의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문명과 문명을 이어주는 장대교량]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