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를 주제나 소재로 하여 만든 영화들 중 인지도가 있는 것들을 찾아 보았다. 영화에 관한 정보나 사진은 cine21과 IMDB를 참조
Bridgeworld.net Posts
아래 인용문은 지난 달 28일 ‘토목의 날’ 행사를 맞이하여 서울대 토목공학과 장승필 교수가 일간지에 기고한 글 중 일부다. 사회기반시설의 확충이 자연을 손상시키고 대대로 살아오던 지역의 주거 환경을 파괴한 것은 토목산업 자체의 잘못이라기보다는, 생태자연적·사회문화적 가치를 적극적으로 고려할 수 없었던 절박한 시대상황과 묵묵히 그에 동조(?)한 토목기술자들의 잘못일 것이다. [토목 인프라와 문화 창조] 장교수의 시인(?)대로 기술자의 잘못이며, 기술자라면 그 틀안에서 누구도 자유로울 수가…
Leave a Comment1. Rolling Bridge 2. Gateshead Millennium Bridge 3. Newport Transporter bridge (via Impressive Moving Bridges)
Leave a Comment한강다리를 앵글에 담은 사진전 ‘한강프로젝트 II – 25개의 한강다리‘ 소개글에서 계원조형예술대학 사진예술학과 이영준 교수는 한강다리를 이렇게 보고 있다. 강남이 강남이 된 것은 동호대교와 성수대교가 놓이고 나서의 일이니, 도대체 어떻게 해서 연결의 역할을 해야 할 다리가 단절의 역할을 하게 된 건지는 다리를 설계하고 시공한 사람도 모르지 않을까 싶다. [한강다리의 상판은 카메라의 셔터소리에 미세하게 떨린다] 요즘 같은 현실에 ‘한강의 다리들은 두 지역을…
Leave a CommentTime지에 실렸던 ‘The Worst Bridge Collapses in the Past 100 Years‘라는 사진기사를 정리해 보았다. 1. Quebec Bridge, Canada 사고 발생시기 : 1916년 9월 11일사고 원인 : 설계 오류로 인해 자중을 버티지 못하고 두 차례에 걸쳐 붕괴사망자 : 95명(1907년 1차 붕괴 포함) 2. Silver Bridge, USA 사고 발생시기 : 1967년 12월 15일사고 원인 : 설계하중을 초과하는 활하중으로 인해 eyebar chain이 파괴되면서…
Leave a Comment이미지 슬라이드를 적용하기 위해, 부서 직원이 핸카로 찍어온 몇 장의 사진을 올려 테스트 해본다.
Leave a CommentWilkinson Eyre 작품이며 이 교량과 관련하여 참고할 만한 글은 1, 2, 3
Leave a CommentAccording to the National Bridge Inventory, there are 594,888 structures in the inventory as of December 2003: 474,515 are identified as bridges, and 120,373 as culverts. Of the 474,515, a total of 161,472 structures, or 34.0%, are classified as either structurally deficient or functionally obsolete. [How Durable Are Our Highway Bridges?] I-35W교의 붕괴 이후 불거진 미국내 교량들의 현주소를 확인하기 위한…
Leave a Comment작년 가을맞이로 적용했던 칙칙한 색깔의 스킨을 벗어 던지고 새봄맞이용 스킨으로 바꾸어 보았다. 껍데기에 신경쓰지 말고 내용에 충실하자는 의미에서 (테마 제목도 마음에 꼭 드는) ‘Just Simple’. 설치시 index.php에서 발생하는 에러는 이렇게 수정하면 해결된다. 또 한가지 변경된 사항은 그동안 이 홈페이지의 문패로 사용하던 ‘Bridge Blog’를 도메인명인 ‘Bridgeworld.net’으로 수정하였다. Bridge Blog는 누구나 가져다 쓸 수 있는 이름이므로 이 홈페이지를 대표한다고 볼 수 없어,…
Leave a Comment면목동과 휘경동을 연결하는 가칭 ‘겸재교’는 중랑천 위에 떠있는 돛단배 모양의 반 사장교로 건설된다. 특히 야간조명 설비를 부착해 밤에 아름다운 형상이 더욱 도드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 이 다리는 국내 최초로 상부는 왕복 4차로의 차도로, 하부는 보도로 이용되는 분리교량 형식으로 만들어질 예정이다. [중랑천에 돛단배 모양 ‘겸재교’ 건설] 개인적으로는 extradosed교가 한강에 하나 건설되길 바랬는데 중랑천에 먼저 들어선다니 다소 아쉽다. 겸재교의 건설소식을 전하는 모든…
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