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sle Bridge Heavy load tests were conducted, both static and dynamic. The statistic test saw more than 60 Russian tanks, weighing 35 tonnes each, driven onto the bridge and parked in rows along the sides. Then trucks brought in 3,000 tonnes of sand and gravel. And that’s not all. After this test, the tanks were driven back and forth… a…
Leave a Comment[카테고리:] 교량 일반
제목 그대로 Bridges to Prosperity라는 비영리단체가 있다는 사실을 오늘에서야 처음알았다. 교량 엔지니어들은 어디 이상한 곳에 기부하지 말고 이런 단체에 기부하면 어떨까? 🙂 Ken Frantz는 엔진오일 교환을 기다리던 도중에 우연히 집어 든 National Geographic 잡지의 이 사진을 보고 단체를 만들었다고 한다.
Leave a Comment홍콩을 방문한 적이 있던 사람들이 제일 의아해 하는 것 중 하나는 아마도 도심 곳곳에서 볼 수 있는 대나무 비계일 것이다. 홍콩이라는 선진국이 아직도 전근대적인(?) 방법으로 공사를 하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고 가는 대나무가 약해 보여 혹시나 무너지지나 않을까 하는 불안감이 드는데 이는 홍콩을 찾는 사람들은 누구나 한번쯤 가져 보았을 생각이다. 대나무 비계 작업 중 종종 사고가 발생하는데, 최근 추락사고에 이어…
Leave a Comment배재대 이경찬교수가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이번 사고 및 교량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한다. 이런 분들을 언론에서는 왜 인터뷰를 안하지?
Leave a Comment시공 중이던 교량이 붕괴되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다. 정확한 사고 경위가 나와 봐야 알겠지만, 붕괴시 동영상으로만 보면 런처 이동중 가설되어 있는 거더가 횡방향으로 전도되면서 도미노처럼 무너진 것을 볼 수 있다. 으레 이런 사고가 발생하면 언론사들은 관련 전문가를 통해 사고 경위에 대한 추측성 기사를 내놓는데, 종종 언론사에서 전문가를 제대로 선정했는지 의문이 들 때가 있다. 교량사고면 당연히 교량에 대한 구조 혹은 시공 전문가…
Leave a Comment장대교량 설계시 지구곡률을 고려하면 어느 정도의 오차가 있을까? 현재 세계 최장의 교량은 지간장이 2,023m이고 주탑높이 318m인 Çanakkale Bridge 이다. 구조물 설계시 지구곡률을 고려하는 경우는 없겠지만, 만약에 고려한다면 주탑정부에서 주탑간 거리는 약 0.1m 길어진다. 대략 x = t * l / R (지구반경, 6,400km)
Leave a Comment매년 ENR은 건설사진 공모전을 하는데 2024년 결과가 나왔다. 2024년에는 1,000개 이상의 작품이 응모를 했고 연례대로 그 중에서 42개 수상작과 8개 가작을 선정했다. 내가 뽑은 원픽은
Leave a Comment교량 덕후가 발렌타인날 기념으로 쓴 사랑편지 🙂동영상에서 소개한 FHWA 내용은(동영상 16’45”) 2007년 발간한 리포트 ‘Wind-Induced Vibration of Stay Cables‘에 나온다.
Leave a Comment건축가가 쓴 세계의 다리 기행이라는 글에서 다리를 건축물이라고 한다. 사람이 모여 사는 마을에서 물은 중심을 이룬다. 예로부터 강에 놓인 다리는 가장 중요하고 필요한 공공 건축물이었다. 공공시설 관련 법에도 교량은 건축물과 같이 시설물에 속해 있는 한 구분이므로 굳이 표현하자면 공공시설물이 옳다. 이건 그렇다치고, 건설과 건축도 구분 못하는 이런 글은 뭘까?
Leave a Comment지방하천을 건너는 보잘 것 없는 소교량이라도 기준에 따라 교명주를 교량 입출구 4개소에 만들고, 거기에 교명판은 차량 진행 방향의 우측 교명주 전면에, 설명판은 차량 진행방향의 좌측 교명주 전면에 부착을 한다. 비단, 우리나라 뿐 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관련 시설들을 쉽게 찾아 볼 수가 있다. 특히, 교명주는 지역 특색이나 차별화를 부각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 지는데 아래 일본 Shima Pearl Bridge는 조개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