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카테고리:] 교량 일반

2024 ENR Year In Construction Photo Contest

매년 ENR은 건설사진 공모전을 하는데 2024년 결과가 나왔다. 2024년에는 1,000개 이상의 작품이 응모를 했고 연례대로 그 중에서 42개 수상작과 8개 가작을 선정했다. 내가 뽑은 원픽은

Leave a Comment

건축물

건축가가 쓴 세계의 다리 기행이라는 글에서 다리를 건축물이라고 한다. 사람이 모여 사는 마을에서 물은 중심을 이룬다. 예로부터 강에 놓인 다리는 가장 중요하고 필요한 공공 건축물이었다. 공공시설 관련 법에도 교량은 건축물과 같이 시설물에 속해 있는 한 구분이므로 굳이 표현하자면 공공시설물이 옳다.…

Leave a Comment

교명주

지방하천을 건너는 보잘 것 없는 소교량이라도 기준에 따라 교명주를 교량 입출구 4개소에 만들고, 거기에 교명판은 차량 진행 방향의 우측 교명주 전면에, 설명판은 차량 진행방향의 좌측 교명주 전면에 부착을 한다. 비단, 우리나라 뿐 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관련 시설들을 쉽게 찾아…

Leave a Comment

교량 이름 짓기

지자체간에 교량명에 자기네 ‘동네이름‘ 넣을려고 어린애들처럼 싸운다. 어제 오늘 일이 아니고 우리나라만 그런 것도 아니다. 교량이나 지하철 등 공공시설물에 지역이름이 들어가면 그 브랜드 효과를 정량적으로 따져 볼 수 있는 건지 정말 궁금하다. 뭐 별 게 있을까?

Leave a Comment

아마존 강엔 몇 개의 교량이 있을까

한강엔 몇 개의 교량이 있을까? 23년 기준으로 31개라고 하는데 그 사이에 완공된 교량들이 또 있을테니 현재는 32개 or 33개 일 것 같다. 그럼 세계에서 두번째로 긴 아마존강에는? 놀랍게도 아마존강 본류에 있는 교량 갯수는 “0”이다.

Leave a Comment

잠수교 국제공모전 논란

당선작은 실현 불가능한 허위작이므로 당선을 취소해야 한다는 토목구조기술사회(KPSEA)의 강경한 이슈 제기가 있었고 시간이 많이 지났다. 공모 지침서에 따라 실격(disqualified) 사유에 해당 된다면, 당시 서울시의 즉각적인 반응이 나왔을텐데 아직 아무 소식이 없는 것을 보니 국제 공모 당선작을 취소시킬 만 한 합당한…

Leave a Comment

Snow on cable bridge

사장교나 현수교의 케이블에 눈이 쌓이는 경우가 있다. 뭐 큰 문제가 되겠냐 싶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고 실제로 쌓인 눈이 떨어져서 지나가는 차에 피해를 준 경우가 있었다. 대표적으로 카나다 Port Mann Bridge 가 2012년에 이런 사고로 인해 송사에 휘말렸었고, 지금도 눈이 많이…

Leave a Comment

ASCE 교량 달력

블로그를 다시 재개하면서 새해맞이 ASCE 달력이나 올려볼까 했더니만 24년부터 더 이상 발간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 이유가 좀 거시기한데 The main reasons behind this decision were sustainability issues, the high amount of staff resources needed to produce the calendar, and its…

Leave a Comment

Mass Of Tourists Caught In Bridge Collapse In China

  40명 정도 무게를 견딜 수 있는 교량에 먼저 건너려는 사람들이 갑자기 많이 몰려 들어서 사고가 발생하였다. 다행히도 사망자나 큰 부상자가 없었다지만 이런 사고를 통해 먼저 앞서 갈려고 하는 개인의 욕심들이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 한 번쯤 다시 생각해 볼 만…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