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백으로 된 동영상은 보았는데 컬러로 보긴 처음이다.
2 Comments[카테고리:] 세계의 교량
요즘 Santiago Calatrava가 디자인한 이태리 베니스에 건설 중인 교량, Rialto Bridge(1588), Accademia Bridge(1932), 그리고 Scalzi Bridge(1934)에 이어 70여년만에 네 번째로 건설되는 새로운 교량인 Piazzale Roma Footbridge(가칭)에 대해 외국 언론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 교량에 대해선 일전에 Santiago Calatrava MIT 강연 내용이라는 글로 소개한 적이 있다. 아치 형태의 beam으로만 되어 있는 새로운 형식의 교량이었고 그의 도전적인 정신을 높이 사서 소개했었다.
Leave a CommentSpain Merida시 Guadiana강을 가로지르는 교량 중 2000년전 로마시대때 건설된 석조 아치교량을 대신할 목적으로 1991년 완공된 교량인 Lusitania Bridge. Santiago Calatrava는 스페인을 대표하는 투우, 즉 황소에서 그 디자인 모티브를 가지고 왔다.
노후된 Waldo-Hancock Bridge를 대신할 Penobscot Narrows Bridge가 작년 연말인 12월 30일 개통되었다.
눈이 내리는 가운데 열린 개통식 행사에서는 주방위군 출신인 Steve Grotton씨가 퍼레이드 행렬의 선두에 섰고 소방차와 응급차들이 뒤를 따랐으며, 폐쇄가 되는 Waldo-Hancock Bridge에서는 1915년 모델 Ford등이 마지막 주행을 했다.
3 CommentsBarcelona Harbour Bridge를 소개하면서 언급했던 Barqueta Bridge. 백야대교 설계시 이 교량을 많이 참조한 것 같다. 🙂
아치의 부드러움과 간결한 미를 갖고 있으면서도 Alamillo Bridge에게 도시의 아이콘 자리를 뺏긴 불쌍한 교량이다.
Leave a CommentSEI에서 매년 선정하는 Award of Merit에 2006년 수상자로 스페인의 Javier Manterola가 선정되었다. (Full Name은 Francisco Javier Manterola Armisen) 우리에겐 낯선 이름이지만 그가 관여한 교량관련 프로젝트만 해도 200여개가 되며 프로젝트 컨설팅 회사인 Carlos Fernández Casado S.L의 대표를 맡고 있다.
Leave a Comment연말이고 하니 술과 관련된 글을 올린다. 일전에 ‘세계 최장의 다리들‘이라는 글에서 언급했던 사우다아라비아와 바레인을 연결하는 King Fahd Causeway의 다른 이름이 ‘Johnnie Walker bridge‘라는 재미있는 설명이 있다.
Leave a Comment1961년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이보 안드리치. 인종 간, 종교 간의 충돌과 분쟁이 끊이지 않는 발칸 반도의 조국 보스니아의 역사를 인간의 운명과 역사에 관한 대서사시로 승화시킨 작가이다. 책은 발칸 반도 400년의 역사를 가로지르며, 다양한 문화와 종교를 가진 사람들의 공존과 충돌을 유장한…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