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2-Episode10에선 Mianus River Bridge 붕괴를 다룬다. 교량은 플레이트 거더교이며 anchor span(혹은 cantilever span, 노란색)과 suspended span(빨간색)이 pin연결된 형식이다. 일반적인 핀행어 방식( Pin and Hanger Assembly) 예시 방송에서 붕괴과정을 설명하는 장면인데, 원인은 부식인데 왜 발생했고 붕괴를 초래했는지에 대한 자세한 분석은 NTSB 보고서에서 확인 가능하나 원본 스캔이라 읽기가 상당히 불편하다. 결론은 관리 부실로 인한 인재(人災) Heinrich Gerber가 고안하여 그의 이름을 붙인 gerber교는…
Leave a Comment[카테고리:] 대중문화 속 교량
Season2-Episode9 에서는 CIF(Constraint-Induced Fracture)라는 파괴 메커니즘이 최초로 밝혀진 Hoan Bridge가 나온다. Hoan Bridge는 1977년 개통 이후 약 20여 년간 별다른 문제 없이 운영되었으나, 2000년 12월 접속교 주거더 3개 중 2개에서 갑작스럽게 예상치 못한 심각한 균열과 구조 붕괴 위험이 발생했다. 원인 분석 결과, 당시에는 비교적 생소했던 ‘구속 유발 파괴(Constraint-Induced Fracture, CIF)’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었으며, 이 사건을 계기로 연성-취성 천이 온도(DBTT), 피로…
Leave a Comment1960년대에 빠르게 발전하여 많이 적용된 Steel Box Girder교가 1970년을 전후해서 연이어 붕괴되는 참사가 발생한다. 1969년 오스트리아 Fourth Danube Bridge 공사 중 좌굴로 인해 심각한 변형이 발생했고, 6개월 후 Britannia Bridge가 아이들의 불장난으로 붕괴되었으며, 얼마 후 건설 중이던 Cleddau Bridge 붕괴 사고가 발생했다. 같은 해 10월에는 35명이 사망한 호주 멜버른 West Gate Bridge 붕괴사고, 1971년에도 독일 Koblenz 지역에 건설 중이던 교량이…
Leave a CommentSeason2-Episode7에는 I-5 Skagit River Bridge 붕괴가 소개된다. 차량이 교량과 충돌하여 붕괴된 사고인데, 딱 찝을 만한 설계 오류가 없어 방송에서는 교량의 주부재가 아닌 부부재(secondary member)와의 충돌인데 왜 한 경간 전체가 붕괴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춰 redundancy와 FC(Fracture Critical)에 대해 얘기를 한다. 전반적인 사고 상황은 NTSB(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 보고서 열람이 가능하므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당시 상황을 요약하면, 파일럿 차량(선도 차량으로 화물트럭이…
Leave a CommentSeason2-Episode6에 대표적인 부교(pontoon bridge)인 Hood Canal Bridge의 붕괴사고가 소개된다. 방송에서 나오는 사고 전말을 요약하면, 방송에서는 자세한 언급이 없었지만 관련 자료를 찾아 보면 지정학적 요인에 대한 설명들도 나온다. Hood Canal 지역은 지형적으로 산의 하위측(leeward side)에 위치해 있어, 강한 남서풍이 불 경우 국지적인 기압골(lee trough)이 형성되기 쉬웠다. 특히 바람의 방향이 Hood Canal의 좁고 긴 해협 형태와 일치할 경우, 이 지역은 풍동(wind tunnel)과…
Leave a Comment1989년 10월 17일 지진으로 붕괴된 Cypress Street Viaduct 가 Season2-Episode5에 소개된다. (참고로, Episode5에는 Tacoma Narrow Bridge도 소개되는데 너무 유명한 교량 붕괴사고라 생략한다.) 당시 연일 방송언론에 교량이 붕괴된 처참한 장면들이 나와서 기억이 나는데 30여년이 훌쩍 지난 일이었다니 세월의 흐름을 실감치 않을 수 없다. 사고 초기에 발표된 2건의 보고서가 공개되어 있어 사고 당시 상황 및 원인을 개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보고서들은 UC…
Leave a Comment일명 Kissing Bridge라 불리는 Inner Harbour Bridge가 Season2-Episode4에 소개된다. 워낙 욕(?)을 많이 먹어 관련 글들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초기 기술적인 문제로 인한 논란은 그렇다 치고 복잡한 동선때문에 보행자나 자전거 라이더들의 안전을 위해하는 문제로 자전거 천국 코펜하겐의 명성에 흠집을 낸 대표적인 교량이다. 가장 신랄하게 이 교량을 비판하는 글에 재미있는 용어가 나오는데 ‘magpie architecture’와 ‘squiggletecture’이다. The bridge is nothing more…
Leave a CommentSeason2-Episode4에서는 2개의 교량을 다루는데 그 중 하나가 Sunshine Skyway Bridge이다. 이 교량에 대해서는 예전에 쓴 글이 있어 링크로 대신한다. 과거부터 계속 선박충돌이 있었는데 대비책을 세우지 않은 것은 engineering mistake라기 보다 주정부의 행정이나 정책 탓으로 보는 것이 더 합당하지 않을까? 이런 사고를 계기로 선박 충돌에 대비한 교각 보호시설들이 개발되고 공학 기술/안전은 한 단계 발전을 거듭해 왔다. 그럼에도 작년에 일어난 Francis Scott…
Leave a CommentSeason2-Episode3에는 시공중이던 교량의 붕괴로 6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FIU(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Pedestrian Bridge 붕괴사고를 다룬다. 최근에 발생한 사고라 연방 교통안전위원회(NTSB, 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 자료도 Youtube에 올라와 있어 상세한 내용 확인이 가능하다. NTSB 보드 미팅에서 발표된 사고 개요 3시간여 가량의 NTSB 보드 미팅 전체본 전단력을 과소평가하고 전단마찰저항을 과대평가한 교량 엔지니어 잘못이 제일 크다. 설계오류는 그렇다치고 균열폭이 기준에 비해 40배, 균열깊이…
Leave a CommentSan Francisco Oakland Bay Bridge가 Season2-Episode2에 소개된다. 통상 Bay Bridge라 칭하는데 San Francisco와 Yerba Buena섬을 연결하는 교량(western part)과 섬에서 Oakland를 연결하는 교량(eastern part) 두 개로 구성되어 있다. Episode에서는 eastern part 교량 건설과정에서의 issue를 다룬다. Issue는 토목공학에서 다룰 문제이기 보다 금속공학 전문가가 나서 해결할 사안이었다. Hydrogen embrittlement, 수소취화 혹은 수소취성이라고 하는데 태어나서 처음 들어 보는 용어다. 여하튼, 이런 현상으로 인해 면진장치인…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