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인이 보면 그럴듯한 기사와 교량을 설계해 본 사람들의 반박 답글. 여러분 생각은 어떻습니까?
Leave a Comment[카테고리:] 한국의 교량
신라 景德王代 대형교량 구조의 단서 찾아 춘양교는 월성(月城)의 남동쪽에 인접하여 궁성과 외부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지금까지 일정교지(『新增東國輿地勝覽』卷二十一 ; ···日精橋一云春陽橋) 또는 효불효교지(민간전설 ; 孝不孝橋址)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발굴조사 결과 월정교와 흡사한 구조의 교량이 드러났고, 이는 『삼국사기』에 기록된 대로 신라 경덕왕(景德王)…
Leave a Comment2001년 대한 토목학회 창립50주년기념사업위원회 발간 ‘한국 토목사’ 중에서 1. 교량의 내력 2. 전통교량 3. 콘크리트교 4. 강교와 강합성교 5. 교량의 하부구조
Leave a Comment대한 토목학회지 기고 기사 (2002년 11월) 금가대교(7경간 연속 Extradosed교)의 설계 (1) 금가대교(7경간 연속 Extradosed교)의 설계 (2)
Leave a Comment콘크리트 학회지 기고 기사 (2002년 9월) 평여2교의 설계
Leave a Comment1979년 완공된 최대 지간장 120m의 Gerber Truss 교. 1994년10월 21일 오전 7시 40분 서울시 성동구 성수동과 강남구 압구정동을 잇는 성수대교 중간 다섯째와 여섯째 교각 사이의 상판 48m가 붕괴 32명 사망함. 사고원인은 교량 상판을 떠받치는 트러스의 연결이음새의 용접 불량과 유지관리 소홀이…
Leave a Comment행주대교 붕괴 원인 (출처 :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Leave a Comment멋진 사진 한 방 찍으려고 애쓰는 기자 양반들. 광통교는 조선시대 도성 제일의 다리로 태종이 사이가 좋지 않았던 태조 이성계의 계비 신덕왕후 강씨의 무덤 돌을 옮겨와 축조를 했다고 한다. 광통교는 조선시대 경복궁-육조거리-숭례문으로 이어지는 도성내 남북대로의 일부였으며, 주변에 시전 상가가 즐비해 사람들이…
Leave a Comment그 제안의 발상이 재미있다. 🙂 참고로 사진은 독자의견에 있는 것처럼 원효대교가 맞다. 사회 인프라 측면에서 다리는 생성과 창조를 위한 탯줄이다. 연결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