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가인 유현준 교수가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게 한강의 교량들에 대해 설명하는 동영상이다. 토목인이 아닌 건축가가 교량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 교량 엔지니어의 한사람으로서 약간 거시기하지만, 그래도 무난하게 잘 설명이 된 것 같다. 교량이라는 전문적인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교량 자체의 이야기에 인문학적 요소 등을 적절히 넣어 일반인들도 흥미를 가지고 시청을 많이 하는 것 같다.
사소한 오류들 -예를 들면 성수대교를 설명하면서 ‘교각판이 그냥 뚝 떨어진 사건’은 교각판이 아닌 교량상판이 맞는 표현- 말고 정확한 fact를 위해 몇 가지를 지적한다.
- 성산대교를 ‘반원형의 아치 반달형 구조체의 조형미가 있는 다리’라고 설명을 했는데, 사실 성산대교의 아치 부재는 구조재가 아니고 트러스에 조형미(?)를 표현한다고 붙인 철판떼기에 불과하므로 표현이 과장되었다.
- 밀레니엄 교량의 흔들림 사고를 설명하면서 이전 글에서 얘기했던 내용을 소개하는데, 최신 이론에 대한 언급없이 기존 이론(Steven Strogatz’s ‘SYNC’)을 인용한다.
- 다리의 구조 중 트러스교 설명에서, 10분50초 영상 사진 부재력의 인장/압축에 오류가 있다. 예를 든 교량은 pratt truss로 이론상 사재는 인장, 수직재는 압축을 받지만 양측 수직재는 인장재이다. 상현재/하현재의 절점에서 force equilibrium을 따져 보면 처음과 마지막 수직재는 인장재이어야 한다.
정보 전달을 위해 콘텐츠를 제작하든, 본인 의견을 피력하든, 교수라는 사회적 신분이 있는 만큼 사전에 객관적인 사실관계들을 좀 더 신중히 잘 파악해야지 아니면 요즘 같은 세상에서는 쓸데없는 구설수에 오르기 십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