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년도:] 2007년

문명과 교량

사라진 잉카문명의 흔적이 남아 있는 Machu Picchu에 교량 하나를 건설하려는데 말이 많다. 강을 건너는 다리가 없어 15시간의 긴 시간을 이용하여 인근 마을과 교역하는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전임 시장이 다리 건설을 추진하였으나 이런 저런 사정으로 연기가 되고 있다. 첫째는 다리…

Leave a Comment

Jean M. Muller

세계 최초의 Precast Segmental Box Girder교인 Choisy le Roi Bridge 등을 설계한, PC 교량의 설계 및 시공분야에서 위대한 업적을 남긴 Jean M. Muller의 생애와 그가 남긴 교량들에 관한 글이 PCI저널 2006년 3/4월호에 ‘Jean M. Muller : Bridge Engineer with Flair…

Leave a Comment

‘대교’의 기준

마산과 창원을 잇는 마창대교, 거제와 부산을 잇는 거가대교 등 다리 공사가 한창이다. 사람들은 보통 바다를 가로지르는 큰 다리라야 ‘대교’라는 말을 붙인다고 알고 있다. 전문가들은 꼭 그렇지는 않다고 했다. 그렇다면 어떤 기준에 따라 다리 이름에 ‘대교’를 붙일까. 이에 대해 건설기술자와 학자,…

Leave a Comment

Santiago Calatrava’s New Bridge in Venice

요즘 Santiago Calatrava가 디자인한 이태리 베니스에 건설 중인 교량, Rialto Bridge(1588), Accademia Bridge(1932), 그리고 Scalzi Bridge(1934)에 이어 70여년만에 네 번째로 건설되는 새로운 교량인 Piazzale Roma Footbridge(가칭)에 대해 외국 언론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다.

Piazzale Roma Footbridge

이 교량에 대해선 일전에 Santiago Calatrava MIT 강연 내용이라는 글로 소개한 적이 있다. 아치 형태의 beam으로만 되어 있는 새로운 형식의 교량이었고 그의 도전적인 정신을 높이 사서 소개했었다.

Leave a Comment